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Beta-blocker therapy in the era of primary percutaneous intervention for 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 유홍-
dc.date.accessioned2014-11-12T02:06:36Z-
dc.date.available2014-11-12T02:06:36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0898-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 The potential benefit of beta-blocker for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EMI) was believed as therapeutic effects of left ventricular (LV) dysfunction. With present therapeutic advance, numbers of STEMI patients with LV dysfunction have been decreased. We studied the long term clinical outcomes of betablocker therapy after successful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on STEMI.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and clinical outcomes of 901 STEMI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PCI . We classified patients into beta-blocker (N=598) and non betablocker groups (N=303) according to its use at discharge. Mean follow up month was 54±30 months. Primary end point was all-cause death and secondary end point was major adverse cardiac event (MACE; all-cause death, recurrent MI, target vessel revascularization).
RESULTS: The beta-blocker group had lower Killip class, higher ejection fraction, younger ages, more male gender, statin use, hypertension, obesity, use of drug eluting stent and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infarct. Cumulative incidence of all-cause death was 10.0% (60 patients) in beta-blocker group during mean follow up months of 56±28 and 25.4% (77 patients) in non beta-blocker group during mean follow up months of 49±32 (p<0.001) (Table 3). Incidence of MACE was 22.1% (132 patients) in betablocker group and 34.3% (104 patients) in non beta-blocker group (p<0.001). The relative hazard ratios (HR) for all-cause death and MACE, in beta-blocker group with abnormal LVEF (left ventricle ejection fraction, EF<50%), were 0.54 (95% confidence interval (CI) 0.34-0.85, P=0.008) and 0.72 (95% CI 0.50-1.04, P=0.082). In beta-blocker group with normal LVEF (EF≥50%), the relative HR for death and MACE were 0.50 (95% CI 0.29-0.86, P=0.012) and 0.80 (95% CI 0.54-1.19, P=0.275).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adjust difference of baseline characteristics, Kaplan-Meier survival curve of beta-blocker group in abnormal LVEF and normal LVEF demonstrated significant lower mortality (P=0.02, P=0.001, respectively).
CONCLUSIONS: Beta-blocker has benefit on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STEMI after primary PCI regardless of LVEF.
-
dc.description.abstract목적: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 환자들의 치료가 발전함에 따라 좌심실 기능저하를 보이는 환자들의 수는 줄어 들었고 따라서 이들의 예후도 많이 향상되었다. 성공적인 일차적 관동맥 중재시술로 정상 좌심실 수축기능을 보이는 ST분절 상승 심근경색 환자에서 베타 차단제의 역할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고 최근의 몇몇 연구들은 베타 차단제의 역할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 환자에서 성공적인 일차적 관동맥 중재시술 후 베타 차단제의 사용이 환자의 장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일차적 관동맥 중재시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901 명의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 환자를 598 명의 베타 차단제 사용 군과 303 명의 베타 차단제 비사용 군으로 나누었고 각 군을 좌심실 기능 저하의 유무에 따라 비교하였다. 환자의 사망과 사망, 재발성 심근경색, 표적 혈관의 재개통으로 구성된 주요 심장 사건을 연구하였다.
결과: 베타 차단제 사용 군에서 Killip 분류 1 이 더 많았고, 좌심실 수축기능이 더 높았으며 젊은 연령, 남성, statin 제제의 사용, 고혈압 환자, 비만, 약물 용출 스텐트의 사용 빈도, 좌전하행지 영역의 심근경색의 빈도 등이 더 많게 나타났다. 베타 차단제 사용 군에서 모든 사망의 누적 발생율은 10% (60 명, 평균 관찰 기간:56±28 개월) 이었고 베타 차단제 비사용 군에서는 25.4% (77 명, 평균 관찰 기간: 49±32 개월)이었다 (p<0.001). 주요 심장 사건의 누적 발생율의 경우 베타 차단제 사용 군에서 22.1% (132 명) 이었고 베타차단제 비 사용 군에서는 34.3% (104 명) 이었다 (p<0.001). 좌심실 구혈률이 저하된 (좌심실 구혈률 <50%) 환자에서 베타 차단제 사용의 사망과 주요 심장 사건에 대한 비교 위험도는 0.54 (P=0.008, 95% 신뢰구간(CI) 0.34-0.85)와 0.72 (P=0.082, CI 0.50-1.04)였고 정상 좌심실 구혈률을 가진 (좌심실 구혈률 ≥50) 환자에서는 베타 차단제 사용의 비교 위험도가 각각 0.50 (P=0.012, CI 0.29-0.86)와 0.80 (P=0.275, CI 0.54-1.19) 이었다. 양군간의 임상 양상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Propensity score matching 을 시행한 후 분석한 Kaplan-Meier 생존 곡선에서 베타 차단제 사용 군은 좌심실 구혈률 저하가 있는 환자와 좌심실 구혈률이 정상인 환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높은 생존율을 보여 주었다 (P=0.02, P=0.001, respectively).
결론: 베타 차단제는 일차적 관동맥 중재 시술을 시행한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 환자에서 좌심실 기능 저하의 유무와 상관 없이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i

TABLE OF CONTENTS iii

LIST OF FIGURES iv

LIST OF TABLES v

ABBREVIATION vi

I. INTRODUCTION 1

II. MATERIAL AND METHODS 2

A. STUDY DESIGN AND POPULATION 2

B. STUDY END POINTS 2

C. STATISTICAL ANALYSIS 2

III. RESULTS 4

A. BETA-BLOCKER USE 4

B. BASELINE CHARACTERISTICS 4

C. CLINICAL OUTCOMES 7

IV. DISCUSSION 22

V. CONCLUSION 25

REFERENCES 26

국문요약 30
-
dc.language.isoen-
dc.titleBeta-blocker therapy in the era of primary percutaneous intervention for 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dc.title.alternativeST 분절 상승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 시술 후 경구 베타 차단제 사용이 장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579-
dc.subject.keywordbeta-blocker-
dc.subject.keyword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EMI)-
dc.subject.keyword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dc.subject.keyword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
dc.subject.keyword베타 차단제-
dc.subject.keywordST 분절 상승 심근경색-
dc.subject.keyword일차적 관동맥 중재 시술-
dc.subject.keyword좌심실 기능-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의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 유홍-
dc.date.awarded2014-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4-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