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Functional Status of the Donor Limb of Anterolateral Thigh Flap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 명철-
dc.contributor.author한, 대희-
dc.date.accessioned2014-11-13T01:00:11Z-
dc.date.available2014-11-13T01:00:11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0907-
dc.description.abstractThe anterolateral thigh flap (ALT) is based on the perforators of the descending branch of the lateral circumflex femoral artery. As there are several anatomical variations of the lateral circumflex arterial system, muscle dissection is unavoidable when skin perforator vessels run through the vastus lateralis muscle. In the present study, we prospectively evaluated donor extremity function and investigated the objective functional morbidity of the donor site. We performed a prospective study on 14 cases of head and neck defect reconstruction using free ALT flap at Ajou university hospital between September 2011 and November 2012. Patients were followed-up post operatively at 6 months by questionnaire. The Biodex System (Biodex medical systems, providing reliable and reproducible data, was used for the dynamic functional evaluation of the knee joint of patients both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We compared the variables pre-operation and post-operation and in terms of the donor limb and non-donor limb, septocutaneous perforator and musculocutaneous perforator, donor site primary closure and skin graft, and size of flap<64cm² vs. ≥64cm². All flaps survived and the recovery of the donor limb was uneventful. On postoperative follow up, some patients complained their decreased sensation around the donor limb and decreased mobility. However, there was no limitation in their daily life. In the objective test, over al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except for total work at 180° extension (0.0459). Changes in the ratio of peak torque/weight and total work of the knee extension or flexion were statistically negligible (p<0.05). The results of our questionnaire mirrored the literature. Pain and hypoesthesia were observed, but, they did not interfere with their daily life. There was decrease in total work of knee extension compare to the preoperative data. The postoperative long period of rest may cause delayed functional recovery. Therefore, we have to encourage the patient to do the rehabilitation exercise.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functional damage to the donor limb of the anterolateral thigh flap is minimal even if the muscle is injured during harvesting. Moreover, we found that complaints concerning a decreased mobility were not objective from the results of our questionnaire.-
dc.description.abstract앞가쪽넙다리 유리피판은 가쪽넙다리휘돌이 동맥의 내림가지의 천공지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넙다리휘돌이 동맥에 다양한 해부학적변이가 있기 때문에 천공지를 찾기위해 외측광근에 대한 근육박리를 피할 수 없다. 기존의 연구 논문에서는 공여부의 이환률에 대하여 객관적인 평가보다는 환자에게 설문조사를 통한 주관적인 평가가 대부분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향적으로 하지공여부의 기능에 대해서 평가하고 공여부기능상의 객관적인 이환률에 대하여 조사하고자한다. 2011년 9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에서 시행한 앞가쪽넙다리 유리피판을 이용한 두경부 결손의 재건환자 14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연구를 시행하였다. 주관적인 평가로 수술 후 6개월째 설문조사를 통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객관적인 평가로 수술 전과 수술 후에 무릎관절에 대한 운동능력을 평가하였다. 이때 Biodex System으로 운동능력을 평가하였고 이것은 근육의 기능을 객관적으로 평가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자료는 믿을 수 있고 재생가능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여부의 수술 전과 수술 후 변화를 비교하였고 공여부와 정상부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환자군을 나누어서 사이막천공지피판군과 근피부천공지피판군, 공여부 재건을 봉합으로 한 군과 피부 이식으로 한 군, 그리고공여부결손의 크기가 64cm²이상인 군과 미만인 군으로 나누어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본 연구에서 시행하였던 14례의 두경부 재건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다. 설문지 조사를 통한 주관적인 평가에서는 일부환자들이 공여부 주변으로 감각저하를 호소하였고 일부 운동능력에도 감소되었다고 표현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은 일상생활에 큰 제한은 없었다. 그리고 객관적인 평가에서는 허벅지에서 발휘되는 근력과 근지구력으로 공여부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수술부위 180도 신전했을 때 수술 전과 비교했을 때 근지구력에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감소를 보였다 (0.0459). 그 밖에 정상부위와 수술부위, 사이막천공지피판군과 근피부천공지피판군, 공여부 재건을 봉합으로 한 군과 피부이식으로 한 군, 그리고 공여부 결손의 크기가 64cm²이상인 군과 미만인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p<0.05). 환자가 호소하는 공여부의 감각의 변화는 기존의 발표되었던 논문의 결과와 같다고 볼 수 있겠으며 감각신경이 모두 절제된 것이 아니고 주변신경에서 자라 나오는 것을 기대해 볼 수 있기 때문에 회복을 기대해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수술부위의 객관적인 기능은 보존되어있었다. 수술 후 근지구력 일부 감소된 것은 수술후장기간 침상안정으로 재활이 충분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이며 수술 후 재활에 대하여 환자교육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앞가쪽넙다리 유리피판을 거상하는 동안에 근육에 손상이 있어도 공여부의 기능적인 손상이 적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증명하였다. 덧붙여 환자가 호소하는 다소 간의 운동능력 감소 소견은 객관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i

TABLE OF CONTENTS iii

LIST OF FIGURES iv

LIST OF TABLES v

I. INTRODUCTION 1

II.MATERIALSAND METHODS 3

III. RESULTS 5

IV. DISCUSSION 10

V. CONCLUSION 14

REFERENCES 15

국문요약 18
-
dc.language.isoen-
dc.titleFunctional Status of the Donor Limb of Anterolateral Thigh Flap-
dc.title.alternative앞가쪽 넙다리 유리 피판 공여부위 기능의 객관적인 평가-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431-
dc.subject.keywordFree tissue flap-
dc.subject.keywordLower extremity-
dc.subject.keywordTissue donors-
dc.subject.keywordMorbidity-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의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한, 대희-
dc.date.awarded2014-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4-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