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The Use of Ischemia-modified Albumin(IMA) in Ischemic Stroke

Other Title
허혈성 뇌혈관 질환에서 Ichemia-modified albumin의 유용성
Authors
안, 정환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Master (2008)
Abstract
INTRODU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ischemiamodified albumin (IMA) as a new and rapid diagnostic biomarker of ischemic stroke and compare IMA in progression of stroke and non-progression of ischemic stroke.
METHODS: Fifty-two emergency patients with acute neurologic symptoms were admit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in 6 hours of symptom onset (28 Ischemic Stroke Group; SG, 24 Non-Stroke Group; NSG). Blood samples for IMA measurements by albumin cobalt binding test (Ischemia Technology, Denver, U.S.A) were obtained at arrival, and 12 and 24 hours after the onset of symptoms.
RESULTS: The initial mean IMA level was 107.4 (107.4±11.0) U/ml in SG and 86.5 (86.5±8.5) U/ml in NSG, respectively (p <0.001). Fifteen SG patients showed progress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IMA level according to tim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CONCLUSION: IMA may be a new diagnostic biomarker in ischemic stroke. However, it is difficult to be used as a predictive biomarker for progression of ischemic stroke.

목적: 뇌경색이나 허혈성 뇌질환은 빠르고 정확한 진단방법을 필요로 한다. 조직이 허혈상태에 있을 경우 Ischemia-modified albumin(IMA)이 생성된다. 본 연구의 목 적은 IMA가 뇌경색이나 뇌허혈성 질환이 있을 때의 변화를 관찰하여 허혈성 뇌질 환을 초기에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생리학적 지표로써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6시간 이내에 발생한 신경학적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52명을 대상으 로 하였다. 모든 대상들은 두경부 전산화 촬영과 두경부 자기 공명 촬영을 시행하였 다. 영상 검사에서 뇌경색의 증거가 있는 경우가 28명이었고 이 군을 뇌경색군이라 명명하였고 영상 검사에서 뇌경색의 증거가 없는 경우는 24명으로 이 군을 비뇌경 색군이라 명명하였다. 내원시, 증상발현 12시간 후, 증상발현 24시간 후에 각 환자 에서 IMA를 측정하였다. 통계학적 검증은 통계 프로그램인 SPSS 12.0 (SPSS Inc., USA)과General+Clinical laboratory statistics version 1.73(Analyse-it software, Ltd., England United Kingdom)를 이용하였다.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를 이용하여 판정 기준치(cutoff value)를 산출하였고, Mann-Whitney U test,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뇌경색군과 비뇌경색군의 IMA 수치를 비교하였다. 진 행성 뇌경색군과 비진행성 뇌경색군을 비교하기 위하여 two-sample Kolmogorov- Smirnov Z를 이용하였다.
결과: 뇌경색군과 비뇌경색군의 평균 연령은 각각 59.3(59.3±16.5), 61.3(61.3±16.2) 이었다. 통계학상 의미가 없었다 (p>0.05). 뇌경색군과 비뇌경색군의 내원시 IMA 수치는 107.4(107.4±10.68) U/ml, 82.0(82.0±9.86) U/ml이었다. 각군의 IMA 수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p<0.001). 뇌경색군의 내원 당시, 증상 발현 12시간, 24 시간 뒤의 IMA 수치는 각각 107.4(107.4± 10.68)U/ml, 105.3(105.3±13.9) U/ml, 109.5(109.5±10.8)U/ml)이었다. 가장 적절한 판정기준치는 98 U/ml이었다. 뇌경색 군에서 각 시간대에 따른 IMA 수치는 뇌경색의 진행 유무에 관계없이 통계학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05). 본 연구에서 혈전 용해제 혹은 관혈적 재개통술을 시행 한 환자는 총 4명이었고 투약 혹은 시술 후에 IMA 수치는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뇌경색 환자는 IMA가 증가하며, 뇌경색이 진행되는 상황 에서도 IMA는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IMA는 허혈성 뇌경색에서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생화학적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Ajou Authors
안, 정환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