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Quantitative Analysis of Effect of rhBMP-2 after Cyst Enucle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 승일-
dc.contributor.author황, 두연-
dc.date.accessioned2016-12-05T01:00:34Z-
dc.date.available2016-12-05T01:00:3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3112-
dc.description.abstract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낭종 적출 후 골 내 결손부에 사용된 rhBMP-2의 효과를 골 형성 지수(osteogenesis index, OI)관점에서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함에 있다.



연구대상 및 방법 : 10명의 환자 (12개의 병소)는 전신마취 하 낭종 적출 시행 받았다. 12개의 병소를 술 후 ACS(absorbable collagen sponge)와 rhBMP-2를 함께 사용한 group A와 ACS만 사용한 group B로 나누었다. 술 후 3개월 CBCT를 촬영하여 병소의 부피 변화를 측정한다. Hounsfield unit을 달리 설정하여 그룹별로 OI를 계산하여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 hounsfield unit을 200으로 설정한 경우 A그룹의 OI의 평균은 72.4%, B그룹의 OI의 평균은 55.1%였으며 두 그룹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41). Hounsfield unit을 600으로 설정한 경우 A그룹의 OI의 평균은 27.5%였고 B그룹의 OI의 평균은 18.9%였으며 두 그룹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0.394).



결론 : rhBMP-2를 술 후 골 결손부에 사용하면 신생골 형성 효과가 있으며 통상적인 골 이식을 대체하여 다양한 경우의 구강악안면영역의 골 결손부에 사용할만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3

A. 연구대상 3

B. 연구방법 3

1. 그룹설정 3

2. 병소의 부피 측정 4

3. 골 형성 지수 6

4. 평가 방법 및 통계 처리 6

Ⅲ. 결과 8

A. 환자군 8

B. 병소의 부피와 OI 9

Ⅳ. 고찰 11

Ⅴ. 결론 15

참고문헌 16

ABSTRACT 19
-
dc.language.isoko-
dc.titleQuantitative Analysis of Effect of rhBMP-2 after Cyst Enucleation-
dc.title.alternative낭종 적출 후 사용된 rhBMP-2 효과의 정량적 분석-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918-
dc.subject.keywordrhBMP-2-
dc.subject.keyword골 형성-
dc.subject.keyword골 결손-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임상치의학대학원-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황, 두연-
dc.date.awarded2016-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6-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Department of Clinical Dentisity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