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Polymorphism at the Promoter of C-reactive Protein is Associated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Korean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서, 창희-
dc.contributor.author천, 혜영-
dc.date.accessioned2011-03-08T01:01:02Z-
dc.date.available2011-03-08T01:01:02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586-
dc.description.abstract"목적 : C-반응 단백은 감염이나 염증, 조직 손상 시에 급격하게 증가하는 급성 반응 물질로써 염증성 질환에서 염증 반응의 표지자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C-반응 단백의 유전적 다형성이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의 질병감수성에 기여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C-반응 단백의 전사조절 부위의 단일염기다형성을 확인하고 한국인에서의 빈도를 결정하여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의 발병기전에서의 C-반응 단백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아주대 병원에 내원한 150명의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와 질병대조군으로 86명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그리고 138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들로부터 전혈을 채취한 뒤 genomic DNA를 분리하여 C-반응 단백 유전자의 전사조절부위의 약 1.5kb를 직접염기서열분석을 시행하였다. 확인된 다형성을 대상으로 유전자형을 결정하였으며, 이와 함께 최근 백인에서 보고 된 두 번째 exon부위의 3개의 다형성은 중합연쇄반응-제한절편길이다형성의 방법을 이용하여 유전자형을 결정하였다. 각각의 다형성과 C-반응 단백의 혈청농도를 비교하기 위해 질병 활성이 가장 낮을 때 대상 환자로부터 혈청을 분리하여, 자동화 된 고감도 immunoturbidometric method (Olympus, U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390 C>A or T 다형성의 유전자형에 따른 전사조절부위의 활성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 promoter activity assay시행하였다.

연구결과의 통계학적 분석은 SPSS v11.0 for window의 독립표본 T-Test를 시행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과 : C-반응 단백 유전자의 전사조절부위에서 3개의 단일염기다형성을 확인하였고, 이중 -862 T>C, -822 A>G 다형성은 보고 된 바 없는 다형성이었다. CRP의 전사조절부위와 exon에 존재하는 총 6개의 다형성 모두 대립유전자의 빈도 상에서 한국인과 백인 간에 큰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822 A>G와 2043A>G의 다형성의 경우 major allele과 minor allele이 바뀌어 나타날 정도로 큰 빈도상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한국인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와 정상 대조군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오직 -390 C>A or T의 다형성에서만 관찰되었다(re : p=0.025). 이후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의 혈청 C-반응 단백치와 각각의 다형성의 유전자형과 비교한 결과 -390 C>A or T 다형성과 2043 A>G 다형성의 경우 minor allele 하나 이상 포함한 사람에 있어서 C-반응 단백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각각 p=0.023, p=0.020). 또한 루푸스 환자와 정상 대조군 간에도 빈도상 차이를 보였으며, base line C-반응 단백의 발현에도 영향을 미침을 확인한 -390 C>A or T 다형성을 대상으로 promoter activity assay를 시행한 결과 minor allele인 A 또는 T allele을 포함한 promoter reporter construct에서 major allele인 C allele을 포함한 promoter reporter construct보다 promoter activity가 약 3배가량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01).



결론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조사한 C-반응 단백 유전자의 전사조절부위에 존재하는 -390 C>A or T 단일염기 다형성은 C-반응 단백의 발현에도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한국인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에 대한 질병감수성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요약 ⅰ

차 례 ⅲ

그림차례 ⅴ

표 차례 ⅵ

Ⅰ. 서 론 1

Ⅱ. 재료 및 방법 4

A. 대상환자군의 선별과 genomic DNA 준비 4

1. 대상환자군과 대조군 4

2. 환자군과 대조군으로부터 전혈과 혈청 채취 4

3. DNA 추출 4

B. 단일염기다형성 탐색 5

1. Primer 디자인과 중합연쇄반응을 통한 증폭 5

2. 염기서열분석 5

3. 단일염기다형성 확인 6

C.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 결정 6

1. C-반응 단백 유전자의 전사조절부위에서 확인된 다형성의 유전자형결정 6

2. C-반응 단백체의 전사부위에 존재하는 다형성의 유전자형 결정 6

D.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에 따른 혈청 C-반응단백치 7

E. -390 C>A or T 다형성에 대한 Promoter reporter assay 9

1. C-반응 단백의 전사조절부위를 포함한 plasmid 제작 8

2. Transformation 10

3. 집락 선택 10

4. Plasmid DNA 추출 12

5. Transfection 12

6. Luciferase assay 와 β-Galactosidase assay 13

F. 통계분석 13

Ⅲ. 결 과 16

A. C-반응 단백 유전자의 전사조절부위의 단일염기다형성 확인 16

B.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 결정 16

C. C-반응 단백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과 baseline C-반응 단백치의 상관관계 17

D. -390 C>A or T 다형성에서 각각의 유전자형에 따른 전사조절부위 활성의 비교 17

Ⅳ. 고 찰 24

Ⅴ. 결 론 27

참고문헌 28

ABSTRACT 32
-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titlePolymorphism at the Promoter of C-reactive Protein is Associated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Koreans.-
dc.title.alternative한국인에서 C-반응 단백 유전자의 전사조절 부위의 다형성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감수성의 연관성-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356-
dc.subject.keyword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dc.subject.keywordC-반응 단백-
dc.subject.keyword단일염기다형성-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의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천, 혜영-
dc.date.awarded2006-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06-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