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Expression of Survivin : Possible Predictor of Local Recurrence after Curative Resection for Rectal Cancer

Other Title
Survivin의 과발현: 직장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발생한 국소재발의 위험인자로써의 가능성
Authors
박, 용근
Advisor
서, 광욱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Master (2007)
Abstract
Local recurrence has always been a challenging problem following rectal cancer surgery, desite of the advances in surgical technique(TME) as well as adjuvant therapy(preoperative CCRT). There is a need for better prognostic markers due to the varieties of treatment response within same clinicopathologic stage. Survivin, a novel member of IAP protein, is often associated with increasing recurrence risk and poor prognosis.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survivin in rectal cancer and its potential impact on local recurrence. Retrospective clinicopathological data were analysed in 23 patients of local relapse and 60 patients of no recurrence with rectal cancer, staged Ⅱ and Ⅲ.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p53, bcl-2, survivin and cleaved caspase-3 were performed on paraffin-embedded tissue sample of 46 rectal cancer. By clinicopathological data, risk factors for local recurrence were positive nodes (45% vs 69.6%, P<0.046) and lateral margin invasion(1.7% vs 30.4%, P<0.000). Immunohistochemistry revealed “high expression” of survivin could be a predictive parameter of local recurrence in stage III rectal cancer(29.2% vs 59.1%, P<0.043). Our results suggest that “high survivin expression” is possible risk factor of local recurrence and that survivin may be a target for cancer therapy.

배경: 직장암에서 전직장간막절제술(total mesorectal excision)및 수술전 병합 방사선화학요법(preoperative chemoradiation therapy)의 발전으로 재발율이 상당히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소재발의 예측과 치료는 어려운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같은 병기에서 보이는 치료에 대한 다양한 반응은 보다 정확한 예후 인자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포자멸사 억제 단백질 군(inhibition of apoptosis protein family)의 하나인 survivin이 암 치료 후 재발 및 생존에 연관성이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목적: 이에 저자들은 직장암에서 survivin의 발현 유무 및 국소 재발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직장암으로 근치적인 수술을 받은 TNM 병기 Ⅱ 혹은 Ⅲ 환자 중 국소 재발한 23명과, 재발이 없었던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및 병리학적인 자료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환자 46명을 대상으로 수술 후 얻은 조직으로 면역조직화학기법(Immunohistochemistry)을 시행하여 p53, bcl-2, survivin 및 cleaved caspase-3 발현 여부와 재발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임상 및 병리학적 자료 분석에 의하면, 국소 재발에 유의하게 연관성이 있는 인자로는 림프절 전이(45% vs 69.6%, P<0.046) 및 측부 절제연 잔존암(1.7% vs 30.4%, P<0.000)이 있었다. 종양 조직의 면역조직화학기법 결과, 재발군이 비재발군에 비해 survivin이 높게 발현(high expression)되었으며(29.2% vs 59.1%, P<0.043) 그 외 인자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survivin은 림프절 전이유무, 측부절제연 침범유무와 함께 국소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사용할 수 있으며, 향후 직장암 치료에 있어 표적인자(target)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Ajou Authors
박, 용근  |  서, 광욱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