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lawyers in 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 경종-
dc.contributor.author채, 상국-
dc.date.accessioned2018-11-08T10:22:54Z-
dc.date.available2018-11-08T10:22:54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645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lawyers in Korea. From June to December, 2014, we conduc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or lawyers who participated in ethics training. A total of 68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total of 731 questionnaires except multiple answers and incorrectly written questionnaires. Occupational stress was assessed by analyzing the responses to 8 items of job demands (work overload), job autonomy (difficulty in achieving goal), lack of reward, and relationship conflict (client, counterpart, court, investigation agency, colleagues)", and psychosocial stress was assessed by using the Psychosocial Wellbeing Index Short Form (PWI-SF).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hi squared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681 subjects, 280 (41.1%) were in the 'high' occupational stress, 295 (43.3%) were in the 'normal' occupational stress and 135 (19.8%) were in the high-risk group of psychosocial stress. In this study, 134 (99.3%) out of 135 subjects in the high-risk group of psychosocial stress were exposed to occupational stress (p<0.001). The risk of belonging to the high risk group of psychosocial stress was 9.07 times (95% CI: 1.20-68.58) higher in the group with normal occupational stress and 69.24 times (95% CI: 9.46-506.85) higher in the group with high occupational stress. Therefore, Korean lawyer's occupational stress wa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social psychological stress of lawyers.-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우리나라 변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4년 6월부터 12월까지 윤리연수에 참가한 변호사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거된 질문지 총 731부 중 복수 응답과 부정확하게 기입된 질문지를 제외한 총 68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요구, 직무자율, 보상부적절, 관계갈등’의 총 8개 문항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여 평가하였고,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 단축형(PWI-SF)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분석방법은 카이제곱검정과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 681명 중 280명(41.1%)이 직무스트레스 ‘높음’에, 295명(43.3%)이 직무스트레스 ‘보통’ 에 속하였고, 135명(19.8%)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의 고위험군에 속하였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의 고위험군에 속할 위험은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 비해 보통인 집단은 9.07배 높았고(95% CI: 1.20-68.58), 높은 집단은 69.24배(95% CI: 9.46-506.85) 높았다. 변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변호사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6

Ⅱ. 연구방법 7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7
2. 분석방법 9
3. 측정 도구 및 변수 11
가. 종속변수(사회심리적 스트레스) 11
나. 독립변수(직무스트레스) 12
다. 혼란변수 14

Ⅲ. 연구 결과 16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
가. 사회 인구학적 특성 16
나. 직업관련 특성 16
다. 생활습관 특성 17
라. 직무스트레스 17
마.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17
2. 직무스트레스의 분포 20
3.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의 분포 24
4.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28
5. 직무스트레스(하위영역별)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30

Ⅳ. 고찰 33

Ⅴ. 결론 및 제언 43

참고문헌 46

ABSTRACT 52

부록 54
-
dc.language.isoko-
dc.title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lawyers in Korea-
dc.title.alternative변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406-
dc.subject.keywordOccupational stress-
dc.subject.keywordPsychosocial stress-
dc.subject.keywordLawyers-
dc.subject.keyword직무스트레스-
dc.subject.keyword사회심리적 스트레스-
dc.subject.keyword변호사-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의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채, 상국-
dc.date.awarded2017-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7-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Docto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