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Association between alcohol use disorder and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gender in the elderly

Other Title
노인에서 성별에 따른 알코올사용장애와 인지 기능의 관계
Authors
김, 동수
Advisor
홍, 창형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Master (2017)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use disorder and cognition in Korean community-dwelling elderly, especially the gender-specific difference. Data obtained from 1,141 subjects (976 men and 165 women) aged above 60 years was analyzed from the Gwangju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Study (GDEMCIS). All subjects completed the study questionnaire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istory of current and past illnesses, drug history, 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and CAGE (cut down, annoyed, guilty feelings, eye-opener), SGDS-K(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version). Of the 1,141 subjects(mean age 72.17±6.20, mean educational level 6.50±4.48), 267 demonstrated alcohol use disorder (23.40%) and 874 were non-alcohol use disorder(76.60%). The mean of K-MMSE for alcohol use disorder group was 23.23±4.99, and for non-alcohol use disorder group was 23.70±3.94. When alcohol use disorder is accompanying, the decrement of K-MMSE score was 3.07 for female, and 0.35 for male. And we confirmed the interactive effect on K-MMSE score between sex and AUD after adjusting for age, education level, depression. (F=5.798, p=0.016) In 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s an association between alcohol use disorder and cognitive impairment by gender in the elderly.

본 연구는 한국의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서 알코올사용장애와 인지기능의 관계, 특히 성별에 따른 차이점을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광주 치매 및 경도인지장애 연구 (GDEMCIS, Gwangju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Study)를 통해서 60세 이상의 1,141명의 노인(남성 976명, 여성 165명)의 자료를 얻고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에게 인구학적 특징, 과거 및 현재 병력, 약물 사용, K-MMSE , CAGE(cut down, annoyed, guilty feelings, eyeopener), SGDS-K(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version)에 대한 설문을 시행하였다. 총 1,141명의 대상자에서 평균 연령 72.17±6.20세, 평균교육수준은 6.50±4.48년이었으며 CAGE에서 2가지 이상의 항목에서 그렇다고 답하여 알코올사용장애군으로 분류된 대상자는 267명으로 23.40%를 차지하였고 비알코올사용장애군으로 분류된 대상자는 874명으로 76.60%를 차지하였다. 남성의 경우 알코올사용장애가 동반된 경우의 K-MMSE는 23.79점으로 동반되지 않은 경우인 24.14점과 비교하여 0.35점 낮았으며 여성의 경우 알코올사용장애가 동반된 경우의 K-MMSE는 18.30점으로 동반되지 않은 경우인 21.37점과 비교하여 3.07점 낮았다. 알코올사용장애와 성별의 교호작용이 K-MMSE에 나타내는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연령, 교육수준, 우울증을 보정하여 단일변량분석을 시행한 결과 K-MMSE 점수에 있어서 알코올사용장애와 성별의 교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5.798, p=0.016)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노인인구에서 알코올사용장애가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대상자와 비교하여 인지능력이 더 떨어지며, 여성의 경우 남성과 비교하여 그 정도가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Ajou Authors
김, 동수  |  홍, 창형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