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Effectiveness of acellular dermal matrix on autologous split-thickness skin graft in treatment of deep tissue defect : Does cograft affect outcomes?

Other Title
심부 조직 결손의 치료 시 자가 부분층 피부이식에 대한 무세포 동종 진피의 효과
Authors
이, 유정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Master (2017)
Abstract
BACKGROUND: A split-thickness skin graft is usually performed to cover a large full-thickness skin defect. Aesthetic and functional deficits can result, and many studies have sought to overcome them.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the acellular dermal matrix (ADM) graft and split-thickness skin graft concerning aesthetic and functional effectiveness of ADM on scar quality of the donor site of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compared to split thickness skin graft only.
METHODS: Of the patients who underwent anterolateral thigh free flap defect coverage from 2011 to 2015 at our institution, patients who received skin graft only (n=10) or skin graft with ADM (n=20) for coverage of the donor site were enrolled. The retrospective study reviewed medical records and clinical photos to investigate early outcome (skin loss rate, duration of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days to removal of stitches: days to achieve complete healing: complications: days from surgery to the start of rehabilitation): late outcomes in terms of scar vascularity, pigmentation, pliability and height: and graft-related itching sensation and pain. Assessments used the Vancouver Scar Scale (VSS) and patient scar assessment scale of the Patient and Observer Scar Assessment Scale (POSAS). Skin fold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elasticity of scar tissue.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in sex, age, underlying disease, defect size, and the early outcomes between two groups. The VSS vascularity subscore (p=0.003) and total score (p=0.016)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kin graft with ADM group. POSAS pain (p=0.037) and stiffness subscore (p=0.002), and total score (p=0.017)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kin graft with ADM group.
CONCLUSIONS: ADM applied to a full-thickness skin defect could result in a better scar quality. Delay in graft take could be compensated by negative-pressure wound therapy at the skin graft site.

전외측 대퇴 유리피판의공여부에부분층 피부이식술 단독 시행과 무세포 동종 진피를 이용한 부분층 피부이식술을 시행하였을 경우 장기간 추적 관찰 시 확인할 수 있는 반흔 정도를 객관적, 주관적 반흔 평가 도구를 통해 비교 연구 하였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전외측대퇴유리피판술을 받은 환자 중 공여부에 피부이식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무세포 동종 진피를 이용해 피부이식술을 받은 환자 수는 20명이었으며, 피부이식술만 받은 환자수는 10명이었다. 이번 논문의 연구를 통해서 Vancouver scar scale 중 vascularity 및 total score 에서, 그리고 Patient and Observer Scar Assessment Scale 의 Patient score 에서는 pain, stiffness. total score 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무세포 동종 진피를 이용한 환자군에서 더 우수한 반흔 정도를 보였다. 피부이식술을 요하는 심부 조직 결손 시 전층 피부이식술을 시행하지 못하는 큰 사이즈의 결손부에 무세포 동종 진피를 이용한 부분층 피부이식술을 시행함으로써 교원질, 탄력 섬유 및 기질을 보완하여 줄 수 있고, 더 나은 반흔 형성을 기대할 수가 있다. 특히 관절 부위에 해당되지 않지만 관절 부위 근처로 심한 반흔 및 이로 인한 구축 발생 시 운동 제한 및 미용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심부 조직 결손에 있어서 부분층 피부이식술 시행 시 무세포 동종 진피의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무세포 동종 진피를 이용한 부분층 피부이식술이 객관적, 주관적인 면에서 더 나은 반흔 형성을 기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무세포 동종 진피를 이용하였을 때 피부 생착지연은 음압 치료를 이용한 드레싱으로 보상해줄 수 가 있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Ajou Authors
이, 유정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