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Beta2-microglobulin and antichromatin antibodies can be a disease activity markers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Koreans

Other Title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의 질병 활성도 표지자로서의 beta2-microglobulin과 항염색질 항체
Authors
김, 현아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Master (2007)
Abstract
BACKGROUNDS: Beta2-microglobulin and antichromatin antibodies have been described in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a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ir presence is associated with lupus disease activity. We have investigate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beta2-microglobulin and antichromatin antibodies in Korean SL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LE patients (n=100), rheumatoid arthritis (RA) patients (n=50) as disease controls, and normal healthy controls (NC, n=50) at the Ajou university hospital. All of patients fulfilled the ACR classification criteria for SLE and RA, respectively. The presence of beta2-microglobulin and antichromatin antibodies was investigated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he levels of beta-2 microglobulin and antichromatin antibodies were expressed as arbitrary unit (AU). The SLE patients were also evaluated for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disease activity index (SLEDAI).
RESULTS: The beta2-microglobulin level of the SLE group (2.64 ± 0.11 AU) was higher than the RA group (2.14 ± 0.10 AU, p value<0.001) and NC (2.14 ± 0.04 AU, p value < 0.001). The antichromatin antibody level of the SLE group (118.41 ± 41.87 AU) was higher than the RA group (49.70 ± 20.73 AU, p value<0.001) and NC (33.82 ± 24.20 AU, p value < 0.001). The antichromatin antibody was frequently associated with SLE with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 beta2-microglobulin levels were significant higher in SLE patients with serositis, oral ulcer, and lupus nephritis. The antichromatin antibody levels were significant higher in SLE patients with arthriti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s of beta2-microglobulin and each of anti-dsDNA antibody (r=0.305, p=0.003), anemia (r=-0.433, p<0.001), complement (r=-0.231, p=0.032) and SLEDAI (r=0.460, p<0.001).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s of antichromatin antibodies and each of anti-dsDNA antibody (r=0.474, p<0.001), leucopenia (r=-0.268, p=0.008), complement (r=-0.228, p=0.033) and SLEDAI (r=0.278, p=0.006).
CONCLUSIONS: These data suggest that the measurement of beta2-microglobulin and antichromatin antibodies appear to be a useful addition to the laboratory tests that can help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SLE, and can be a useful biomarker.

목적: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에서 beta2-microglobulin과 항염색질 항체와의 연관성에 대해 보고가 있었고, 특히 질병의 활성도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beta2-microglobulin 및 항염색질 항체가 루푸스에서 질병 활성도를 평가하는데 유용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질병 활성 표지자의 혈청 후보 물질로 선별하였고, 루푸스 환자의 질병 활성도 및 임상 양상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미국 류마티스학회에서 1982년 개정한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의 진단기준을 만족한 한국인 루푸스 환자 100명과 그에 대한 질병대조군으로 50명의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그리고 류마티스 질환의 기왕력이 없는 50명의 건강한 자원자를 정상 대조군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군에서의 beta2-microglobulin과 항염색질 항체 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효소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arbitrary unit (AU)로 나타내었다. 루푸스 환자에서 채혈시의 임상증상과 검사실 검사 결과를 확인하여 SLEDAI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disease activity index)를 평가하였다.
결과: Beta2-microglobulin 치는 루푸스 환자군(2.64 ± 0.11 AU)에서 질병 대조군(2.14 ± 0.10 AU)과 정상 대조군(2.14 ± 0.04 AU)보다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p<0.001). 항염색질 항체 치에서는 루푸스 환자군(118.41 ± 41.87 AU)에서 질병 대조군(49.70 ± 20.73 AU)과 정상 대조군(33.82 ± 24.20 AU)보다 유의하게 높았다(각각 p<0.001). 항염색질 항체 양성율은 루푸스 환자군에서 63%, 질병 대조군에서 4%, 정상 대조군에서 2%로 나왔으며, 민감도(sensitivity) 95%, 특이도(specificity) 78%를 보였다. 루푸스 환자에서 beta2-microglobulin 치는 장막염, 구강궤양, 신염이 있는 환자에서 더 높았고, 항염색질 항체 치는 관절염이 있는 환자에서 더 높았다. Beta2-microglobulin 치는 anti-dsDNA, 빈혈, 보체 및 SLEDAI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각각 r = 0.304, 0.433, -0.231, 0.460, p<0.05), 항염색질 항체 치는 anti-dsDNA 항체, 보체, 백혈구 감소증, SLEDAI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각각 r =0.474, -0.228, -0.268, 0.278, p<0.05).
결론: 이상의 결과는 beta2-microglobulin과 항염색질 항체의 측정은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들을 새로운 질병 활성도 표지자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Ajou Authors
김, 현아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