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Prognostic Impact of Left Ventricular Mass Change in Patients with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Other Title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좌심실 질량 변화의 임상적 의의
Authors
박, 진선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Doctor (2018)
Abstract
BACKGROUND: Prognostic significance between progression of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and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with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EMI) is uncerta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ognostic impact of progression of LV mass index (LVMI) in patients with STEMI.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and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STEMI who received successful coronary intervention. A total of 200 patients who had echocardiographic follow-up between 12 and 36 months were finally enrolled. According to change in LVMI compared to baseline LVMI,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progression group and non-progression group. Progression of LVMI was defined when increment of LMVI was greater than 10% compared to baseline LVMI. End points were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within 5 years, including death, recurrent MI, target vessel revascularization, and hospitalization due to heart failure.
RESULTS: Progression of LVMI occurred in 55 patients. In the progression group, rate of recurrent MI was higher (13 vs. 2 %, P = 0.026) and the event-free survival of recurrent MI was significantly worse (log-rank P < 0.001) than that in the non-progression group. Adjusted hazard ratio of progression of LVMI for recurrent MI was 10.253 (95% confidence intervals 2.019-52.061, P = 0.005).
CONCLUSION: Increased LVMI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for adverse events, especially for recurrent MI, in patients with STEMI.

목적: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좌심실 질량 변화와 주요심장사건 발생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좌심실 질량 지수의 변화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성공적인 일차적 관동맥 중재시술을 받은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진단 후 12개월에서 36개월 사이에 심초음파 추적관찰을 시행한 총 200명의 환자를 최종적으로 연구에 등록하였다. 심초음파 추적 검사에서 좌심실 질량지수의 증가 여부에 따라 환자의 군을 분류하였다. 좌심실 질량지수의 증가는 입원 당시 측정한 좌심실 질량지수와 비교하여 10% 이상의 좌심실 질량지수 증가가 있을 때로 정의하였다. 5년 이내의 환자의 사망, 재발성 심근경색, 표적혈관의 재 개통, 심부전에 의한 입원으로 구성된 주요 심장사건을 연구하였다.
결과: 55명의 환자에서 좌심실 질량지수의 증가가 있었다. 좌심실 질량지수의 증가가 있었던 환자군에서, 재발성 심근경색의 발생율이 좌심실 질량지수의 증가가 없었던 환자군보다 높았고 (13 vs. 2 %, P = 0.026) 재발성 심근경색 무사건 생존률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낮았다(log-rank P < 0.001). 좌심실 질량지수의 증가와 재발성 심근경색에 대한 비교 위험도는 10.253(95% 신뢰구간 2.019-52.061, P = 0.005) 이었다.
결론: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좌심실 질량 지수의 증가는 주요 심장 사건 중 특히 재발성 심근경색과 연관성이 있었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Doctor
Ajou Authors
박, 진선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