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Comparison Between TIMI Myocardial Perfusion Grade and Microvascular Indexes, Myocardial Viability, Improvement of LV Function After Primary PCI in STEMI

Other Title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시행받은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심혈관 조영술 상 경색관련 관상동맥의 TIMI Myocardial Perfusion Grade와 심근 생존능 및 6개월 추적관찰 시 좌심실 기능개선과의 연관성
Authors
우, 성일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Master (2007)
Abstract
"- 국문요약 -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시행받은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심혈관 조영술 상 경색관련 관상동맥의 TIMI Myocardial Perfusion Grade와 심근 생존능 및 6개월 추적관찰 시 좌심실 기능개선과의 연관성





배경 및 목적: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미세혈관의 손상정도 및 심근의 생존능은 환자의 예후에 매우 중요한 인자라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성공적인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시술 후 심도자실에서 간단히 평가할 수 있는 관상동맥 조영술 상의 TMPG가 미세혈관 손상을 나타내는 관상동맥의 혈역학적 지수들, FDG-PET 영상으로 평가한 심근의 생존능, 심초음파 상 좌심실의 구혈율 및 좌심실의 벽운동 장애 지수 등과 연관성이 있는 지와 단기 추적검사 시 TMPG가 좌심실의 기능 호전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흉통 발생 후 24시간 이내에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받은 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성공적인 관상동맥 중재시술 후 심도자실에서 TMPG를 평가하여 세군으로 분류했다(Group 1=TMPG 0/1, Group 2=TMPG 2, Group 3=TMPG 3). 심근경색과 연관된 관상동맥 내로 0.014 inch 도플러 유도철선을 위치시킨 후 관상동맥 혈류예비력 및 DDT를 측정하였고, 0.014 inch 압력철선을 병변의 원위부에 위치시킨 후 관상동맥 쐐기압 및 Pcw/Pa를 측정하였다. 관상동맥 중재시술 1주일 후에 FDG-PET 영상을 촬영했으며, FDG 흡수율이 50% 이상인 경우에 심근의 생존능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심초음파는 입원 시와 약 6개월 뒤 추적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일차적 관동맥 중재시술 후 심도자실에서 평가한 TMPG와 심근 경색과 연관된 관상동맥에서 측정한 관상동맥 혈류예비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0.367, p=0.017), group 3에서 관상동맥 혈류예비력이 group 1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58±0.54 vs 2.18±0.54, p=0.035). 또한 TMPG와 DDT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r=0.587, p<0.001), group 2와 group 3에서 각각 DDT가 group 1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463±237 msec vs 843±212 msec, p=0.001; 463±237 msec vs 840±314 msec, p=0.001). TMPG는 압력철선을 이용하여 평가한 관상동맥 쐐기압(r=-0.513, p<0.001) 및 Pcw/Pa(r=-0.614, p<0.001)와 유의한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성공적인 중재시술 후 심도자실에서 평가한 TMPG는 심근경색 1주일 후에 촬영한 PET-PET 영상의 FDG 흡수율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0.587, p<0.001), group 2와 group 3에서 FDG 흡수율이 group 1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42.0±12.3% vs 53.9±11.2%, p=0.043; 42.0±12.3% vs 59.3±13.3%, p=0.001). TMPG와 입원 시의 좌심실 구혈율과는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나(r=0.305, p=0.062), TMPG와 추적 심초음파 검사에서 심구혈율은 유의한 연관성이 관찰되었다(r=0.493, p=0.003). TMPG와 심초음파 상 심근의 벽운동 장애 지수는 입원 시 및 추적관찰 검사에서 모두 유의한 연관성이 관찰되었다(r=-0.371, p=0.02; r=-0.506, p=0.002). 입원 시와 추적 심초음파 검사에서 심구혈율은 group 3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으나(53.4±9.9% vs 60.0±7.0%, p=0.004), 심근의 벽운동 장애 지수는 group 2와 group 3에서 모두 유의하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1.44±0.26 vs 1.24±0.18, p=0.022; 1.35±0.26 vs 1.15±0.18, p=0.018).

결 론: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 성공적인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시술 후 심도자실에서 평가한 TMPG는 초기의 심근의 손상정도 뿐 아니라 심근의 생존능 및 좌심실 기능의 호전, 환자의 예후를 평가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Ajou Authors
우, 성일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