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Cold Stress Thermography in the Diagnosis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 경림-
dc.contributor.author유, 지영-
dc.date.accessioned2011-03-16T01:24:45Z-
dc.date.available2011-03-16T01:24:4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724-
dc.description.abstract"배경 :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객관적인 진단 방법으로 이환지와 통증이 없는사지의 온도 차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되나 이는 측정하는 환경의 온도와 환자의 통증상태, 질환의 어느 시기등에 따라서 역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진단적 도구로 사용하기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한냉부하 검사를 병용한 체열 촬영의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진단에 대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복합부위통증증후군 1형 환자 17명과 경추 추간판 탈출증에 의한 신경근 통증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실온 및 한냉부하 (10°C 물에 손목 이하를 1분간 담금) 후 회복기의 양손의 온도 변화를 체열촬영기로 측정하여 15명 의 건강한 성인을 대조군으로 비교하였다. 측정된 등쪽 다섯 손가락 끝의 온도의 평균을 계산하여 사용하였으며, t-test를 이용하여 각 군내와 각 군간의 좌우 손가락의 평균 온도를 비교하였고, 양손에서의 온도 차이를 군간 비교하였다.



결론 :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에서 한냉부하 전과 한냉 부하 20분 일 때 가장 큰 양손간의 온도차이를 나타냈다. 한냉부하 전 21℃의 실온에서 양측의 온도 차이가 1℃이상 이었던 대상자는 복합부위통증증후군에서 5명(29.4%), 경추 추간판 탈출증후군 환자군에서는 0명, 대조군에서 1명(6.7%)이었고 이들 중 20분 후에 1℃ 이상의 온도 차이를 나타낸 경우는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군에서 17명 중의 9명 이었고 (54.9%), 대조군에서는 1명(6.7%), 경추 추간판탈출증후군 환자군에서는 –3명(25%) 이었다.



고찰 : 본 연구에서 한냉부하 20분 후의 피부 온도 차이는 실온에서 측정한 피부 온도차이에 비하여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군에서 대조군과 경추 추간판탈출증에 의한 신경근 통증 환자군에 비하여 더 분명한 온도 차이를 보였으며, 양측 온도 차이 1℃를 기준으로 할 때 실온에서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한냉부하 20분 후의 온도차이는 의의가 있었으며 따라서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진단에 좀 더 객관성을 주는 검사 수치는 한냉부하 20분 후에 측정한 양측의 온도차라고 생각할 수 있다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요약 i

차례 iii

표차례 iv

I. 서론 1

II. 대상 및 방법 3

III. 결과 4

IV. 고찰 8

참고문헌 12

ABSTRACT 15



"
-
dc.language.isoko-
dc.titleCold Stress Thermography in the Diagnosis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dc.title.alternative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에서 체열촬영의 의의-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694-
dc.subject.keyword복합부위통증증후군-
dc.subject.keyword체열촬영-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의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유, 지영-
dc.date.awarded2010-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0-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