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LHCGR gene analysis in girls with Non - clasic Central Precocious Puberty

Other Title
성조숙증 여아에서 황체화호르몬 수용체 유전자 (LHCGR gene)의 다형성 연구
Authors
정, 활림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Doctor (2019)
Abstract
BACKGROUND: Luteinizing hormone (LH) is a useful parameter in diagnosing precocious puberty. The pubertal response of serum LH to a GnRH stimulation test is varied, and clinical symptoms of precocious puberty are sometimes disproportionate with serum LH concentrations. Many patients present in a state of precocious puberty that advances rapidly, but the post-GnRH peak LH remains prepubertal. LH receptor mutations are suspected of involvement in the non-classic type of central precocious puberty (CPP).
OBJECTIVE: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LHCGR polymorphism and non-classic CPP in subjects exhibiting a peak LH < 5 IU/L on a GnRH stimulation test.
METHODS: In total, 102 girls with non-classic CPP and 100 normal adult women were enrolled. All subjects underwent LHCGR gene analysis by the Sanger method, and patients and controls were compared. Auxological data and gonadotropin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in the 102 patients. Of these patients, 75 completed GnRH agonist treatment, and the treatment outcomes were analyzed.
RESULTS: total of seven variants were identified, including two missense mutations (g.48698754 G/A and g.48688613 G/A) that were found in the patient group (no patients contained both mutations). In silico analysis of these missense mutation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amaging the LHCGR. However,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e identified LHCGR variants and non-classic CPP. GnRH agonist treatment decreased bone age advancement and increased predicted adult height.
CONCLUSION: LHCGR gene polymorphisms do not appear to be a major causative factor for the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of LH in patients with non-classic CPP. GnRH agonist treatment improved clinical parameters in these patients.

목적: 황체화호르몬은 성조숙증의 진단에 있어 유용한 지표이다.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자극검사에서 혈중 황체화호르몬의 사춘기 반응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때떄로 성조숙증의 임상 증상은 황체화호르몬의 혈중 농도와 일치하지 않는다. 많은 수의 환자들이 빠르게 진행하는 성조숙증의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도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자극검사에서 황체화호르몬의 혈중 최고 농도는 사춘기 이전상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비전형적인 중추성 성조숙증 환자를 대상으로 황체화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변이와 이의 임상적 의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아주대 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비전형적인 중추성 성조숙증으로 진단받은 102 여아들이 환자군으로 모집되었으며, 대조군은 100명의 정상 사춘기 발달 과정을 거친 건강한 한국인 성인 여자들을 대상으로 황체화호르몬 수용체 유전자 분석을 시행하였다. 비전형적인 성조숙증 환자는 성조숙증의 임상양상을 보이면서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자극검사에서 황체화호르몬의 혈중 최고 농도가 5IU/L 미만인 환자로 정의하였다. 총 102명의 환자 중 75명은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작용제 치료를 완료하였고 이들에게서 치료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102명의 성조숙증 환아와 100명의 정상 대조군의 황체화호르몬 수용체 유전자 분석을 시행하였다. 유전자 분석 결과 총 7개의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었으나 이러한 황체화호르몬 유전자의 변이와 비전형적인 성조숙증 간에 임상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들 중 2명의 환자에서 각각 발견된 2개의 과오돌연변이는 인 실리코 분석에서 황체화호르몬 수용체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전형적인 성조숙증 환자에서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작용제는 골연령을 늦추고 성인 예측키를 증가 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황체화호르몬 수용체 유전자의 변이가 비전형적인 성조숙증 환자의 주요한 원인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작용제는 이들 환자에서 성조숙증의 임상 지표들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Doctor
Ajou Authors
정, 활림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