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The Anatomical Study of Internal Mammary Perforators

Other Title
내유방혈관 관통지에 대한 해부학적 연구
Authors
임, 성윤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Master (2009)
Abstract
"목적: 내유방혈관은 유리 횡복직근 근육·피부 피판을 이용한 유방재건술에 있어서 수혜부 혈관으로서 자주 이용된다. 그러나 내유방혈관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갈비연골 및 갈비뼈를 자르는 것이 필요하며 수술시간이 오래 걸리고 내유방혈관을 심장동맥성형술의 공여부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내유방혈관 관통지는 내유방혈관이 갖는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수혜부 혈관 및 주변 조직에 생기는 이환율을 줄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내유방혈관 관통지에 대한 해부학적 연구를 통하여 유리 횡복직근 근육·피부 피판술에서 내유방혈관이 수혜혈관으로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재료 및 방법: 포르말린 처리된 11구의 시신(22쪽의 흉부)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시신한쪽 흉부의 흉골 내측 경계에 15번 칼을 이용하여 절개를 가한다. 대흉근이 나올 때까지 박리를 하고 대흉근이 보이면 근막하면으로 외측방향으로 박리를 한다. 첫 번째 늑간공간에서 다섯 번째 늑간공간까지 모두 박리하여 모든 관통동맥과 관통정맥을 찾는다. 내유방혈관의 관통동맥 및 관통정맥의 외경을 확대경시야에서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각각의 늑간공간에서 나오는 내유방혈관 관통동맥 및 관통정맥의 개수와 평균 외경 및 표준편차를 구한다. 가장 큰 외경의 혈관이 나오는 늑간공간을 확인한다. 또한 내유방혈관 관통지가 나오는 위치를 피부에 표시하여 흉골에서 떨어진 정도를 측정한다.



결과: 22쪽의 시신에서 해부를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전체 내유방혈관의 관통동맥의 평균외경은 1.32mm였고 관통정맥은 1.48mm였다. 흉부 한쪽당 나오는 관통동맥의 평균 숫자는 3.32개였고 관통정맥은 3.27개였다. 늑간공간 중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숫자의 관통동맥 및 관통정맥이 위치하는 곳은 2번째 늑간공간이었다(각각 33% 및 34%). 또한, 각 늑간공간별로 비교하였을 때 관통동맥의 평균외경이 가장 큰 곳은 두 번째(1.48mm)였고, 관통정맥의 경우는 세 번째(1.66mm)였다. 가장 큰 외경의 혈관이 나오는 늑간공간의 빈도를 조사해본 결과 두 번째 늑간공간에서 관통동맥 및 관통 정맥 모두 가장 많은 빈도로 발견되었다(각각 64% 및 55%). 관통지로부터 흉골까지의 평균거리는 우측이 1.95cm이고 좌측이 2.08cm였다.



결론: 내유방혈관 관통지는 유리 횡복직근 근육·피부 피판을 이용한 유방재건술에 있어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해부학적 연구가 많이 이뤄져있지 않기 때문에 직경이 생각보다 작고, 수술시 예상한 부위에서 발견되지 않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수술하는 의사로 하여금 선택을 주저하게 하였다. 하지만 이번 해부학 연구를 통하여 내유방혈관 관통지가 충분히 크고 개수가 많아 수술시 재현성이 높고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Ajou Authors
임, 성윤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