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Difference of spreading levels of solution in the cervical epidural injec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 현주-
dc.date.accessioned2011-03-21T05:01:25Z-
dc.date.available2011-03-21T05:01:2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817-
dc.description.abstractBACKGROUNDS: Although cervical epidural block could be a useful therapeutic treatment of head, neck, and upper extremities pain, there is no consensus regarding the volume of injection needed for it in the pain management. We studied the spreading vertebral segments after cervical epidural injection with 2.5 ml, 5 ml and 10 ml of the contrast media and local anesthetic.
METHODS: Total 137 patients suffering from head, neck, and upper extremity pain were selected. Cervical epidural blocks were performed consecutively with 2.5 ml (n=51) and 5 ml (n=42) and 10 ml (n=42) of 0.4% mepivacaine and iopamidol 222 mg I/ml at C7-T1. Both anteroposterior (AP) and lateral radiographs were obtained under a fluoroscopy and evaluated upper and lower epidural spreading vertebral levels of contrast media.
RESULTS: We performed cervical epidural blocks without complications. Rostral spreading vertebral segments of contrast media in group 1, 2 and 3 were 6.0 ± 1.3, 5.5 ± 1.3, and 4.0 ± 2.1, respectively. Caudal spreading segments in each group were 6.9 ± 4.3, 5.2 ± 3.6, and 4.3 ± 2.3, respectively. Total vertebral spreading segments of contrast media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Vertebral spreading segments of contrast media into C2 segment and caudal spreading below the T6 segment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3 and two other groups. Rostral spreading to C1 seg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group 1 and two other groups.
CONCLUSION: Total vertebral spreading segments of contrast medi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each group. 5 ml and 10 ml of epidural injection volumes could be enough to spread entire cervical spine. 5 ml of epidural injection volume might be the most efficient volume for the cervical epidural block than 2.5 ml or 10 ml of volume in terms of enough cervical spreading for covering lesions as well as preventing unnecessary spreading to C1 segment.
-
dc.description.abstract목적: 경부 경막외 블록은 수술을 위한 마취 보다는 술 후 통증의 제거, 만성통증의 치료 및 진단 등에 주로 이용되며 경막외강에 투여되는 약물도 국소마취제, 신경 파괴제, 마약, 길항성 진통제, 스테로이드 등 다양하다. 본 연구는 경부 경막외차단술에서 임상적으로 적절한 약물의 주입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조영제가 혼합된 국소마취제를 2.5ml, 5ml, 10ml로 나누어 경부 경막외강으로 투여하고 경막외 조영상을 얻어 약물이 경막외강으로의 분포하는 척추 분절의 차이를 비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무작위 연속적으로 10 ml(4 ml of 1% mepivacaine + 6 ml of Iopamidol 370mg I/ml[iopamiro®370, Bracco, Italty]) 약물을 경막외강으로 투여 받은 군을 제 1군, 5 ml( 2 ml of 1% mepivacaine + 6 ml of iopamidol 370mg I/ml)를 경막외강으로 투여 받은 군을 제 2군, 2.5 ml(1 ml of 1% mepivacaine + 6 ml of iopamidol 370mg I/ml)를 경막외강으로 투여 받은 군을 제 3군으로 하였으며, 약물을 21 G Tuohy 바늘과10 ml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여 0.3 - 0.4 ml/sec 속도로 경부 경막외강으로 투여하였다. 좌위로 약물 주입 후 환자의 자세는 복와위로 유지하였고, 약물 주입 3분 후에 C자형 영상증강장치로 조영제가 퍼진 척추체의 전후상과 측면상을 촬영하여 측면상을 기준으로 두부 및 미부로의 약물이 분포된 척추체를 레벨을 판독하였다.
결과: 경막외강에 주입된 국소마취제와 조영제 혼합액의 전체 척추에 분포된 척추분절수는 제 1군은 13.6 ± 5.1, 제 2군은 11.0 ± 3.7, 제 3군은 8.3 ± 3.1로 세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두부 방향으로 약물이 확산된 척추체 분절수는 제 1군은 6.0 ± 1.3, 제 2군에서는 5.5 ± 1.3, 제 3군은 4.0 ± 2.1 척추체였으며, 세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나(P<0.001) 제 1군과 2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미부 방향으로의 약물이 확산된 척추체 분절수는 제 1군이 6.9 ± 4.3, 제 2군에서는 5.2 ± 3.6, 제 3군은 4.3 ± 2.3 척추체로 제 1군과 제 2,3군간의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1군과 2군 P<0.01, 1군과 3군 P<0.001)를 보였으나 제 2군과 3군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두경부 질환 및 흉부 질환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모두에 있어서 약물의 용량은 5 ml가 가장 적합하고 유용할 것이라 생각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대상 및 방법 = 2

A.연구대상 = 2

B.방법 = 2

C.통계 = 3

Ⅲ. 결과 = 4

Ⅳ. 고찰 = 10

Ⅴ. 결론 = 14

참고문헌 = 15

ABSTRACT = 18"
-
dc.language.isoko-
dc.titleDifference of spreading levels of solution in the cervical epidural injection-
dc.title.alternative경부경막외차단시 약물의 용량에 따른 약물 분포 범위-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219-
dc.subject.keyword경부경막외강차단-
dc.subject.keyword조영제-
dc.subject.keyword경막외강내 약물확산-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의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노, 현주-
dc.date.awarded2008-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08-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