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Changes of the clinical and serum biomarkers after anti-IL-5 antibody treatment in patients with severe eosinophilic asthma

Other Title
중증 호산구 천식 환자에서 IL-5 항체 치료에 따른 임상 및 혈청 생체지표들의 변화
Authors
장, 재혁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Master (2020)
Abstract
PURPOSE AND METHODS: Patients with severe asthma have been suffering from frequent asthma exacerbations, where eosinophil is a major effector cell in airway inflammation, and anti-IL5 treatment i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Thirteen patients with severe eosinophilic asthma who had been treated with anti-IL5 antibody treatment (reslizumab, 100mg monthly IV) for 6 months, were enrolled at Ajou University Hospital (Suwon, South Korea). Clinical parameters such as total blood eosinophil count (TEC), FEV1% and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FeNO) levels were compared before/after anti-IL5 treatment. In addition, to identify potential serum biomarkers for predicting treatment response, changes in serum levels of eosinophil derived neutoxin (EDN), periostin (PON), TGF-β1 were analyzed by ELISA.
RESULTS: Serum EDN levels as well as TEC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1 month of the treatment; FEV1% increased after 2 months of treatment (P<0.05, respectively), while no changes were noted in FeNO level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EC and serum EDN levels (r=0.49, P=0.1), whil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noted with FEV1%/FeNO as well as PON/TGF-B1 levels (P>0.05 for all).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noted between age and TEC/EDN levels (r=-0.62, P=0.02; r=-0.59, P=0.03),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noted with other biomarkers. When the EDNresponder group was defined if serum EDN level decreased (more than 30%) after the first month of treatment (compared to the baseline level), TE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sponder group than in the non-responder group (1,017 ± 495.6 / µL vs. 500.7 ± 252.0 / µL, P=0.039). Reduction of serum EDN level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aseline TEC and FeNO levels (r=0.58, P=0.04; r=0.65, P=0.02). When the FeNO-responder group was defined if FeNO level decreased (more than 30%) after the treatment, asthma duration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responder group than in non-responder group (5.16 ± 3.92 years vs. 21.40 ± 7.79 years, P=0.043). When the FEV1-responder group was defined if FEV1% increased (more than 15%) after the treatment, onset ag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responder group than in the non-responder group (30.0 ± 6.83 years vs. 53.0 ± 16.32 years, P=0.008); asthma duration was shorter in the responder group than in the nonresponder group. (6.0 ± 5.99 years vs. 16.57 ± 10.23, P=0.07).
CONCLUSION: Changes in serum EDN levels may be a potential biomarker for predicting eosinophilic inflammation after anti-IL5 treatment in patients with severe eosinophilic asthma, which was affected by patient’ age, onset age and asthma duration.

배경: 중증 천식 환자에서 발생하는 천식의 급성 악화가 호산구와 연관되어 있고 이러한 호산구를 조절하는 interleukin-5(IL-5)의 역할이 알려지면서 IL-5 항체를 이용한 천식 치료제들이 개발되어 사용 중이다. 본 연구자들은 중증 호산구 천식 환자에서 IL-5 항체 치료 전후 임상지표 및 제2형 면역 반응 생체지표를 분석하여, 치료 반응 예측을 위한 생체지표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방법: 아주대학교병원 알레르기내과 외래 진료를 받는 천식 환자들 중 중증 호산구 천식 환자로 진단받은 1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달에 한번 IL-5 항체 (reslizumab, 100mg, 피하 주사)를 6개월이상 유지하며, 임상 및 실험실적 지표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관찰한 주요 임상지표는 혈중 호산구수 (TEC), 1초간 강제 호기량 (FEV1) 예측치, 호기산화질소 (FeNO)의 변화를, 실험실적 생체지표로는 혈청 periostin, eosinophil-derived neurotoxin (EDN),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TGF-β1)치를 ELISA 법으로 측정하여 다양한 지표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의 천식 유병 기간은 11.85 ± 9.46년이며, 발병 나이는 40.62 ± 15.96세였다. 만성 부비동염이 동반된 환자는 12명 (92.30%)이었다. Reslizumab 투여 2개월 이후 FEV1 % 예측치의 유의한 호전이 관찰되었으나 (P<0.05), 호기산화질소 (FeNO) 측정치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치료 전 혈중 총 호산구 수(TEC)와 FEV1% 예측치, TEC와 FeNO측정치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나(각 P>0.05), TEC와 혈청 EDN 치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r=0.49, P=0.1). 또한 TEC와 periostin (PON), TEC와 TGF-β1 간에는 유의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각 P>0.05). 환자의 나이와 TEC, 혈청 EDN 치간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으나(r=-0.62, P=0.02; r=-0.59, P=0.03) 나이와 다른 생체지표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투약 첫 1개월후 EDN치가 30% 이상 감소한 경우를 반응군(n=6), 그 이하의 변화를 보인 군을 비 반응군(n=6)으로 구분하였을 때, 치료 전 TEC는 반응군에서 비 반응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1,017 ± 495.6 /µL vs. 500.7 ± 252.0/µL, P=0.039). EDN의 감소 정도는 치료 전 TEC와 FeNO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58, P=0.04; r=0.65, P=0.02). FeNO치가 연구기간 동안 30% 이상 감소한 반응군(n=6)과 비 반응군(n=5) 간을 비교하였을 때, 환자 나이와 체질량지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비 반응군의 천식 유병기간은 반응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길었다(21.40 ± 7.79 년 vs. 5.16 ± 3.92년, P=0.043). 또한 투약 전후 FEV1% 예측치가 15% 이상 증가한 군을 반응군(n=5), 그 이하로 증가한 군을 비 반응군(n=7)으로 구분하였을 때, 발병 연령은 비 반응군이 반응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53.0 ± 16.32 세 vs. 30.0 ± 6.83세, P=0.008), 유병 기간도 비 반응군이 반응군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다(16.57 ± 10.23 vs. 6.0 ± 5.99년, P=0.07).
결론: 혈청 EDN 치의 변화는 혈중 호산구 수와 함께 중증 천식 환자에서 IL-5 항체 치료 후 기도 호산구 염증을 평가하는 잠재적 생체지표가 될 수 있으며, IL-5 항체 치료 반응 예측에 환자의 연령, 발병 연령, 유병기간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Ajou Authors
장, 재혁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