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Prognostic value of programmed death-ligand 1 expression in prostate needle biopsy tissue of prostate cancer patients

Other Title
전립선암 환자의 전립선 침생검 조직에서 Programmed death-ligand 1 발현의 예후적 가치
Authors
심, 강희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Master (2021)
Abstract
Programmed death ligand-1 (PD-L1) expression in cancer is often associated with cancer aggressiveness and responsiveness to treatment with PD-1 pathway inhibitors. We conducted a systematic study on the expression of membranous PD-L1 (mPD-L1) and nuclear PD-1-L1 (nPD-L1) in prostate needle biopsy specimens of prostate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radiotherapy and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PD-L1 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patients. A total of 971 cancer-containing prostate needle biopsy cores from 172 patients were immunohistochemically stained with anti-PD-L1 antibody. The association of PD-L1 expression with Gleason score and tumor volume percentage was evaluated for each biopsy core. Total of 171 pati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mPD-L1 or nPD-L1 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mPD-L1, nPD-L1 and common prognostic factors were analyzed in terms of biochemical recurrence. Total of 15% and 46% of biopsy cores were stained positive for mPD-L1 and nPD-L1, respective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leason score and mPD-L1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Gleason score and nPD-L1. Between mPD-L1 and nPD-L1,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There was intra-individual heterogeneity in PD-L1 expression among different Gleason scores. For mPD-L1, only pre-treatment PS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itive group than in the negative, but not Gleason score and T stage. For nPD-L1, Gleason score and T st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sitive group than in the negative. Both mPD-L1 and nPD-L1 expression were not predictive of BCR-free survival i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Our results suggest that PD-1 pathway inhibitor may be a potential therapeutic option in high risk prostate cancer patients as early as neo-adjuvant setting. The novel discovery of PD-L1 expression in the nucleus of PC should be subjected to further research.

암세포에서 Programmed death–ligand 1 (PD-L1)의 발현은 종종 암의 악성도 및 PD-1 경로 억제제 치료에 대한 반응성과 관련이 있다. 현재까지 전립선암의 영역에서 전립선절제술 절편보다 조직의 크기가 훨씬 작은 전립선 침 생검 조직의 PD-L1 면역 조직 화학 검사에 대한 타당성 및 결과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으며, 따라서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전립선 암에서 PD-L1의 발현을 침생검 표본으로부터 증명하고, 침 생검 표본에서 전립선암 조직의 PD-L1 발현과 환자의 종양학적 예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전립선암 조직에서의 PD-L1 발현이 생화학적 재발, 임상적 재발, 전이,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으로의 전환 및 암 특이사망률과 같은 나쁜 임상 결과와 관련이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1999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아주 대학교 병원에서 전립선암 진단 하 일차 방사선 치료를 받은 모든 171명의 환자로부터 획득한 총 971개의 전립선 침생검 슬라이드를 항-PD-L1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 염색을 시행하였다. PD-L1의 발현 및 PD-L1의 발현과 Gleason 점수, 종양 부피 백분율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환자들을 세포막 PD-L1 및 세포핵 PD-L1 발현에 따라 구분하여, 양성군과 음성군 사이의 임상 병리학적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생화학적 무재발 생존율에 대한 세포막 PD-L1 및 세포핵 PD-L1 발현의 상대적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염색을 진행한 전체 슬라이드 가운데 15% 및 46%가 각각 세포막 PD-L1 및 세포핵 PD-L1에 대해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Gleason 점수와 세포막 PD-L1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Gleason 점수와 세포핵 PD-L1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세포막 PD-L1과 세포핵 PD-L1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세포막 PD-L1의 경우 치료 전 전립선 특이항원 수치가 음성군보다 양성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확인되었으며, Gleason 점수 및 임상적 병기와는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세포핵 PD-L1의 경우 Gleason 점수 및 임상적 병기는 음성군보다 양성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확인되었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치료 전 전립선 특이항원, Gleason 점수, 병기, 세포막 PD-L1 발현 및 세포핵 PD-L1 발현 가운데 Gleason 점수 한 항목만이 무 재발 생존율에 관련된 유일한 독립적 예후 인자로 확인되었다. 우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전립선 침생검 조직에서 세포막 PD-L1 및 세포핵 PD-L1의 발현을 모두 확인할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이러한 PD-L1의 발현이 Gleason 점수와도 어느 정도 관련성이 있다는 임상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고위험 전립선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 면역 치료라는 추가적인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Ajou Authors
심, 강희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