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Analysis of Corneal Topographic Optical Zone and Decentration after Myopic Refractive Surgery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유, 호민 | - |
dc.contributor.author | 최, 중혁 | - |
dc.date.accessioned | 2011-04-14T04:53:26Z | - |
dc.date.available | 2011-04-14T04:53:26Z | - |
dc.date.issued | 2005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2316 | - |
dc.description.abstract | PURPOSE: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ablation center and to evaluate the size of ablation zone after PRK and LASIK using Technolas 217 C.
METHODS: This study comprised 69 eyes ; PRK was done on 31 eyes and LASIK on 38 eyes. The ablation zone and the degree of decentration were determined through corneal topography. We divide the eyes with the degree of decentration. Lesser than 0.5mm were classified as the first group, from 0.5 to 1.0mm were classified as the second group. The ablation zone diameter in topography was compared with preoperative programmed optical zone. RESULTS: The only factor influencing ablation center in PRK group was pre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p=0.016), while there was no factor influencing ablation zone in LASIK group. In PRK and LASIK group, the long axis of the ablation zone was longer than that of the programmed optical zone(p=0.003), while the short axis was shorter(p=0.001). CONCLUSIONS: After refractive surgery using Technolas 217 C Eximer laser with eye tracking system, there was no clinically significant decentration. The greater pre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 the more decentered ablation were noted in PRK group. The topographical long axis of ablation zone was longer than that of the programmed ablation zone, while the short axis of ablation zone was shorter. We should be aware of the possibility that the short axis of the postoperative ablation zone could be shorter than that of the programmed preoperative optical zone. | - |
dc.description.abstract | 목적: 눈추적장치를 장착한 Technolas 217 C eximer laser를 이용하여 PRK, LASIK을 시행 후 수술 전과 수술 후 각막지형도의 difference map을 이용하여 중심이탈정도와 연마부를 구하여 중심이탈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알아보고 연마부의 장축과 단축의 크기를 술 전 광학대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 까지 근시성, 복합근시성 난시교정을 위해 눈추적장치를 장착한 Technolas 217 C eximer laser를 이용하여 LASIK과 PRK를 시행한 환자 각각 18명(31안), 23명(38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LASIK과 PRK에서 각막지형도의 difference map에서 0.5 mm 미만의 중심이탈을 보인 군(1군)과 0.5 mm 이상 1.0 mm 미만의 중심이탈을 보인 군(2군)으로 나누어 여러인자들이 중심이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마부의 장축과 단축의 길이를 구하여 수술시 입력된 광학부(optical zone)와 비교하였다. 결과: 중심이탈은 PRK를 시행 받은 환자 23명(38안)에서 1군(0.244 ± 0.129 mm)이 25안(66%), 2군(0.554 ± 0.066 mm)이 13안(34%)이었으며, LASIK환자에서는 31안 중 1군(0.242 ± 0.106 mm)이 24안(77%), 2군(0.571 ± 0.076 mm)이 7안(23%)이 있었다. PRK 시행한 환자에서는 술 전 구면렌즈대응치가 중심이탈이 큰 2군이 중심이탈의 정도가 작은 1군에 비해 술전 구면렌즈 대응치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16). PRK 군에서 술 후 연마부의 장축은 술 전의 광학부(optical zone)에 비해 평균 0.908 ± 0.124 mm 더 컸으며(p=0.003), 단축은 평균 0.300 ± 0.067 mm 더 작게 측정되었다(p=0.001). LASIK군에서 술 후 연마부의 장축은 술 전의 광학부에 비해 평균 0.523 ± 0.165 mm 더 컸으며(p=0.003), 단축은 평균 0.726 ± 0.138 mm 더 작게 측정되었다(p=0.001). 결론: 눈추적장치를 사용한 Technolas 217 C eximer laser를 이용한 근시교정수술 후에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중심이탈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술 전의 구면렌즈대응치가 중심이탈의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마부의 크기는 단축의 경우 수술 전에 입력된 광학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으므로 광학대를 결정할 때 이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차례
국문요약 = 1 차례 = 3 그림 차례 = 4 표 차례 = 5 Ⅰ. 서론 = 6 Ⅱ. 대상 및 방법 = 8 A. 연구대상 = 8 B. 방법 = 8 Ⅲ. 결과 = 11 Ⅳ. 고찰 = 14 Ⅴ. 결론 = 19 참고문헌 = 20 ABSTRACT = 22" | - |
dc.language.iso | ko | - |
dc.title | Analysis of Corneal Topographic Optical Zone and Decentration after Myopic Refractive Surgery | - |
dc.title.alternative | 근시교정수술후 각막지형도 상의 광학대와 중심이탈 정도 | - |
dc.type | Thesis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203 | - |
dc.subject.keyword | 중심이탈 | - |
dc.subject.keyword | 술 전 구면렌즈대응치 | - |
dc.subject.keyword | 연마부의 크기 | - |
dc.subject.keyword | Ablation center decentration | - |
dc.subject.keyword | Ablation zone diameter | - |
dc.subject.keyword | Spherical equivalent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contributor.department | 대학원 의학과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최, 중혁 | - |
dc.date.awarded | 2005 | - |
dc.type.local | Theses | - |
dc.citation.date | 2005 | - |
dc.embargo.liftdate | 9999-12-31 | - |
dc.embargo.terms | 9999-12-31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