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Hemodynamic Changes after Endotracheal Iintubation with a Lightwand or a Laryngoscope in Patients with Cerebral Aneurysm

Other Title
뇌동맥류환자에서 기관내 삽관시 광봉 또는 직접후두경의 사용에 따른 혈역학적 변화
Authors
윤, 채리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Master (2005)
Abstract
Laryngoscopy and tracheal intubation induce the patients airway reflexes and lead to hypertension and tachycardia. The changes during intubation may cause a rupture of cerebral aneurysm and increase the risk of subarachnoid hemorrhage. It is reported that tracheal intubation with lightwand results in less hemodynamic stimulation compared with direct laryngoscopy. We therefore conducted this study to assess that the lightwand technique could result less hemodynamic changes during intubation. Twenty six patients undergoing cerebral aneurysm clipping surgery were included. On arrival to the operating room, patients were monitored with direct arterial pressure, electrocardiogram, pulse oximetry and BIS. All patients received fentany(1-2 ㎍/kg), dormicum(0.05-0.1 mg/kg) and thiopental sodium(3-4 mg/kg) followed by vecuronium(0.1-0.15 mg/kg). The lungs were ventilated with 3% isoflurane in oxygen. 1% lidocaine(1 mg/kg) were administered 90 seconds before the intubation. Patients were then intubated with either the lightwand or the laryngoscope when end expiratory isoflurane concentration 2 vol% and BIS less than 40. Room light were dimmed and the endotracheal tube was introduced into the oral cavity and advanced until midline illumination was observed in the anterior neck.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and heart rate were recorded continuously before and after intubation for 5 minut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x, age, weight, initial blood pressure and initial heart rate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hemodynamic changes after intubation between the two goups. We found that, in patients with cerebral aneurysm, a lightwand intubation technique does not reduce the hemodynamic responses when compared to a laryngoscopy. Pharmacologic manipulation and volatile anesthetics might control the changes i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associated with tracheal intubation.

마취유도시 직접후두경의 사용은 환자의 기도반응을 자극시키고 고혈압과 빈맥을 유발한다. 뇌동맥류환자에서 기관삽관시 혈관 긴장도가 증가하면 뇌동맥류가 파열되어 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할 위험성이 증가하게 된다. 최근에 기관삽관시 광봉의 사용이 직접후두경을 사용하는 것보다 안정적인 혈역학적 반응을 보인다고 보고 된바 있어 광봉이 뇌동맥류 환자에서 마취유도시 혈압변동을 완화 시킬 수 있을 거라 예측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뇌동맥류 결찰술이 예정된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무작위로 광봉을 이용한 기관내 삽관군(Group 1, n=13)과 직접후두경을 이용한 기관내 삽관군(Group 2, n=13)으로 정하였다. 수술방 도착시 직접혈압 감시, 심전도, 맥박 산소포화도와 BIS를 장착하였다. 마취유도를 위해 fentanyl(1-2 μg/kg), midazolam(0.05-0.1 mg/kg)과 thiopental sodium(3-4 mg/kg)을 정주하였고, 의식 소실 후 vecuronium(0.1-0.15 mg/kg)을 정주 한 후, 100% 산소와 3% isoflurane 으로 용수조절 환기하였다. 기관삽관 90초 전에 1% lidocaine(1 mg/kg)을 정주하였다. 호기말 isoflurane 농도가 2 vol%, BIS 40 이하에 도달하면 기관내 삽관을 실시하였다. 기관삽관시 수술실의 조명을 어둡게 하여 환자의 목 부위의 피부를 통한 광봉의 불빛이 잘 비치도록하여 기관내 삽관을 실시하였다. 기관 삽관에 따른 혈압 및 심박수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양군에서 수술방 도착시, 기관 삽관시도 직전, 기관 삽관 후 1, 2, 3, 4, 5분의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심박수를 기록하였다. 대상환자의 성별과 나이, 체중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방 도착시의 두 군간의 혈압과 심박수의 차이는 없었다. 기관삽관후 1, 2, 3, 4, 5분 모두 두 군간의 혈압과 심박수의 변화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뇌동맥결찰술이 예정된 환자에서 기관 삽관시 광봉의 사용은 직접후두경의 사용시와 비교하여 혈역학적 안정성을 보여주지 못하였다. 기관내 삽관시 적절한 용량의 약물 사용과 적정농도의 호기말 흡입마취제 농도를 유지함으로써 혈압과 심박수의 상승을 완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Ajou Authors
윤, 채리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