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Rectal Bleeding and Its Management after Irradiation for Cervix Cancer

Other Title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 후에 발생한 직장출혈과 치료
Authors
전, 미선  | 강, 승희  | 길, 훈종 | 오, 영택  | 손, 정혜 | 정, 혜영 | 유, 희석  | 이, 광재
C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20(4). : 343-352, 2002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
ISSN
1229-8719
Abstract
PURPOSE: Radiotherapy is the main treatment modality for uterine cervix cancer. Since the rectum is in the radiation target volume, rectal bleeding is a common late side effect. This study evaluates the risk factors of radiation induced rectal bleeding and discusses its optimal management.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13 patients who completed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EBRT) and intracavitary radiation (ICR) between September 1994 and December 1999 were included in this study. No patient had undergon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Ninety patients received radiotherapy according to a modified hyperfractionated schedule. A midline block was placed at a pelvic dose of between 30.6 Gy to 39.6 Gy. The total parametrial dose from the EBRT was 51 to 59 Gy depending on the extent of their disease. The point A dose from the HDR brachytherapy was 28 Gy to 30 Gy (4 Gyx7, or 5 Gyx6). The rectal point dose was calculated either by the ICRU 38 guideline, or by anterior rectal wall point seen on radiographs, with barium contrast. Rectal bleeding was scored by the LENT/SOMA criteria. For the management of rectal bleeding, we opted for observation, sucralfate enema or coagulation based on the frequency or amount of bleeding.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9 months (12~86 months).
RESULTS: The incidence of rectal bleeding was 12.7% (27/213); graded as 1 in 9 patients, grade 2 in 16 and grade 3 in 2. The overall moderate and severe rectal complication rate was 8.5%. Most complications (92.6%) developed within 2 years following completion of radiotherapy (median 16 months). No patient progressed to rectal fistula or obstruction during the follow-up period. In the univariate analysis, three factors correlated with a high incidence of bleeding : an icruCRBED greater than 100 Gy (19.7% vs. 4.2%), an EBRT dose to the parametrium over 55 Gy (22.1% vs. 5.1%) and higher stages of III and IV (31.8% vs. 10.5%).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icruCRBED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p>0.0432). The total parametrial dose from the EBRT had borderline significance (p=0.0546). Grade 1 bleeding was controlled without further management (3 patients), or with sucralfate enema 1 to 2 months after treatment. For grade 2 bleeding, sucralfate enema for 1 to 2 months reduced the frequency or amount of bleeding but for residual bleeding, additional coagulation was performed, where immediate cessation of bleeding was achieved (symptom duration of 3 to 10 months). Grade 3 bleeding lasted for 1 year even with multiple transfusions and coagulations.
CONCLUSION: Moderate and severe rectal bleeding occurred in 8.5% of patients, which is comparable with other report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or rectal bleeding was the accumulated dose to the rectum (icruCRBED), which corrected with consideration to biological equivalence. Prompt management of rectal bleeding, with a combination of sucralfate enema and coagulation, reduced the duration of the symptom, and minimized the anxiety/discomfort of patients.

목적 : 자궁경부암의 경우 종양에 충분한 양의 방사선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직장도 고선량의 방사선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직장염을 비롯한 만성부작용이 발생하며 직장 출혈 빈도를 5\~30% 보고하고 있다. 저자는 완치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직장 출혈 빈도와 그와 관련된 위험인자들을 분석하고 치료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9월과 1999년 12월 사이에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 213명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90명이 외부 방사선치료의 일부를 하루 2회씩 받았다(변형된 다분할 방사선치료). 자궁주위조직의 외부 방사선량은 총 51\~59Gy였고 근접방사선치료로 A점에 총 28\~30Gy (4 Gy씩 7회 혹은 5 Gy씩 6회)를 조사하였다. 직장에 조사된 선량은 ICRU 38에서 정한 위치와, 모의촬영필름에서 바리움에 의해 구분되는 직장 앞쪽 벽의 한 점을 선정하여 계산하였다. 직장출혈의 정도는 LENT/SOMA에 따라 분류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은 12\~86개월(중앙값 39개월)이었다.
결과 : 27명(12.7%)의 환자에서 직장출혈이 발생하였다(등급 2와 3:각각 16명과 2명, 8.5%). 이들 중에서 추적관찰 기간동안 질-직장루 또는 폐쇄로 진행된 경우는 없었다 발생시기는 대부분의 환자에서(92.6%) 치료 종료 후 2년 이내였다(중앙값 16개월). 단변량분석에서 위험인자로 icruCRBED (직장이 받은 총 생물학적 동등선량), 자궁주위조직의 방사선량, 및 병기였다. icruCRBED가 100 미만인 경우와 100 이상인 경우 4.2% 대 19.7%, 자궁주위조직에 대한 조사선량 55 Gy 미만과 그 이상인 경우가 5.1% 대 22.1%, 병기 II 이하인 경우와 III 이상인 경우가 10.5% 대 31.8%였다. 다변량분석에서는 icruCREED 만이 유의하였다(0=0.0432). 등급 1 출혈은 자연적으로 소실되거나(3명) 1\~2개월의 sucralfate 관장으로 멈추었다. 등급 2의 환자 6명은 1\~2개월 동안 sucralfate 관장으로 출혈의 빈도와 양이 줄어들었고 이 중 4명은 전기응고술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다른 9명은 전기응고술을 먼저 시행하였다(4명; sucralfate 관장 병행). 모두 3\~10개월 내에 정지되었다. 등급 3의 출혈은 잦은 전기응고술과 수혈을 요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중등도 이상의 직장출혈빈도가 8.5%로 타 문헌에서 보고된 빈도와 유사한 결과였다. 직장에 조사된 총 생물학적 동등선량이 100 Gy 이상인 경우에 직장출혈이 유의하게 증가하므로, 치료계획시 생물학적 동등선량을 고려함으로써 휴유증 감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직장출혈이 발생한 환자에서 조기에 적극적으로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출혈로 인한 불편함을 신속하게 해결하고 이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Journal Paper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Radiation Oncology
Journal Paper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Obstetrics & Gynecology
Journal Paper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Gastroenterology
Ajou Authors
강, 승희  |  오, 영택  |  유, 희석  |  이, 광재  |  전, 미선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rapeutic Radiology and Oncology_20(4)_343-352.pdfDownload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