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Risk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Correlations with lymphangiogenesis and ultrasound features

Other Title
임파선 전이 갑상선 유두암에 있어서 lymphangiogenesis와 초음파소견의 연관성
Authors
최, 윤정
Department
대학원 의학과
Degree
Doctor (2013)
Abstract
Stratification of risk factors for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LNM) in thyroid papillary carcinoma is important for providing standards for post-operative adjuvant radio-iodine therapy and for predicting patient prognosis. We investigated pathological factors based on the lymphatic vessel system and ultrasound features associated with tumor with cervical LNM. Among patients who had undergone thyroidectomy confirmed to be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e selected 126 age-sex matched paired patients without cervical LNM (group 1) and with LNM (group 2) to evaluate risk factors. Pathological factors evaluated were size, multiplicity, and extra thyroid extension state, based on the pathological reports using stored data. The lymphatic vessel density (LVD) of each tumor was evaluated by staining for VEGFR-3 and D2-40 and correlated with cervical LNM state. Ultrasound features were evalua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Larger tumor size, multiplicity, extrathyroid extension were more common in group 2 (p<0.05). The median percentage of VEGFR-3 for group 1 was 20 (range 0-30) and D2-40 was 13 (range 7-23) while for group 2, VEGFR-3 was 80 (70-90) and D2-40 was 78 (54-114). LVD measured by intratumoral D2-40 staining was 20.6% and 79.4% for group 1 and group 2, respectively. Intra-tumoral lymphatics measured by D2-40 stain had a strong correlation with cervical LNM (Odds 1.230, CI 1.01.-1.499 p value 0.040). US feature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lthough calcifications tended to be higher in group 2 (84% vs 76% p=0.264). Lymphatic vessel density and nodule echogenicity did not show correlations. Intratumoral lymphangiogenesis was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LNM and thus, could be a useful predictive marker for cervical LNM.

갑상선 유두암의 경부 림프절 전이에 대한 위험인자의 계층화는 수술 후 보조 옥소 치료 및 환자 예후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림프관과 경부 림프절 전이와 연관된 종양의 영상학적 소견을 기반으로 하여 병리학적 요인을분석하였다. 갑상선 절제술을 시행하여 갑상선 유두암으로 확인된 환자들 중 나이와 성별을 맞추어 126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경부림프절 전이가 없는 군 (1 군) 과 경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군 (2 군) 로 구분하여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두 군간의 갑상선초음파검사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병리학적 요인들로는 병리 보고서에 따라서 크기, 다중성, 그리고 갑상선외 침범 등을 분석하였다. 각 종양의 림프관 밀도는 VEGFR-3 와 D2-40 으로 염색하여 확인하였으며 경부 림프절 전이와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2 군에서 종양의 크기가 더 컸으며 다양성과 갑상선외 침범이 더 흔하게 관찰되었다 (P < 0.05). 1 군의 VEGFR-3 의 중간비율은 20 (0~30) 이었고 D2-40의 값은 13 (7~23) 이었으며 2 군에서의 VEGFR-3 의 중간비율은 80 (70~90) 이었고 D2-40 의 값은 78 (54~114) 이었다. 종양내D2-40 염색법으로 확인한 림프관 밀도는 1 군이 20.6%, 2 군이 79.4%였다. 종양내 D2-40 염색법으로 확인한 림프관 침범 정도는 경부 림프절 전이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OR, 1.230; CI, 1.01-1.499, P = 0.040). 갑상선초음파검사 결과 중 석회화는 2 군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지만 두 군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P = 0.264). 림프관 밀도와 결절의 초음파 에코와의 상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종양내 림프관형성이 림프절 전이와 연관성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림프절 전이의 예측 가능한 인자로 사용될 수 있겠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Doctor
Ajou Authors
최, 윤정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