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흉요추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척추경 기기제거술의 효용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 준호-
dc.date.accessioned2013-12-17-
dc.date.available2013-12-17-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8630-
dc.description.abstractINTRODUCTION: Removal of posterior spinal implants after a successful spinal fusion is a common procedure in thoracolumbar fractures. However, there are still ongoing controversies regarding the advantages and drawbacks of the implant removal. We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concerning the implant removal after fusion in thoracolumbar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hree patients had undergone an implant removal surgery after a posterior fusion with pedicle screw fixation for thoracolumbar fractures. The mean duration after the index surgery was 25.3±17.6 months. A control cohort of 38 consecutive patients with thoracolumbar fractures that had pedicle screw implants was enrolled. Subjects were followed for more than two years, with clinical parameters (VAS and ODI) and radiologic parameters (vertebral compression ratio and segmental angle) documented during follow up.
RESULTS: Demographic variables regarding age, gender, level and type of fracture, radiologic parameters, and compensation status at the index surgery were homogeneous between the two groups.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at the time of removal surgery in the removal group were similar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After 4-year follow-up from the index surgery, radiologic parameter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VA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removal group (2.9±1.5) than the control group (3.8±1.5) (P=0.028). ODI was also lower in removal group (13.8±8.1) than control group (18.5±11.0)(P=0.042).
DISCUSSION: Removal of implant after a successful spinal fusion alleviated pain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thoracolumbar fractures. Further investigation regarding the implant-related pain is needed.
-
dc.description.abstract목적: 흉요추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서 척추경 기기를 이용한 내고정술 및 유합술은 골절 치료의 원칙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흉요추부 골절의 골유합 후 척추경 기기 제거의 적응증이나 시기, 그 효용성 등에 대해서는 논의된 바가 적으며, 이에 대한 연구 보고도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본 논문에서 흉요추 골절로 후방 유합술 시행 후 안정성을 얻은 환자에게 척추경 기기제거술 시행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조사하여 그 효용성을 평가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이번 연구는 후향적 실험-대조군 비교를 통해 진행 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한명의 수술자가 시행하였고, 양측으로 척추경 나사못을 사용하였다. 척추유합은 자가장골 이식술을 이용한 후방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후방유합술의 범위는 환자의 골절의 위치와 불안정성에 따라 결정하였다. 실험군으로는 흉요추 골절로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후방유합술을 시행한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평균 수술 후 25.3±17.6개월 뒤에 기기제거술을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38명의 흉요추골절로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해 수술한 환자를 선정하였다. 환자들은 2년 이상 추시 관찰하였으며 임상적 지표(VAS, ODI)와 방사선학적 지표(vertebral compression ratio, segmental motion angle, Cobb’s angle)등을 추시 관찰시 시행하였다.
결과: 두 군간의 환자 나이, 성별, 방사선학적 지표, 골절 등급 등의 인구학적 요소들은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임상적 지표들인 VAS와 ODI지표에서는 기기제거술 후 2년뒤의 시점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VAS점수는 기기제거술을 시행한 군(2.9±1.5)에서 대조군(3.7±1.5)보다 의미있게 낮은 양상(P=0.028)을 보였고, ODI점수 또한 기기제거술을 시행한 군(13.8±8.1)에서 대조군(18.5±11.0)보다 의미 있게 낮은 양상(P=0.042)을 보였다. 방사선학적으로 segmental motion angle도 첫 1년 여간은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2년 추시 관찰에서 기기제거술을 받은 군에서 더 motion angle이 증가되는 것이 관찰 되었다.
고찰: 본 연구에서 흉요추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척추경 기기제거술은 임상적으로 보다 우수한 경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학적 관찰에서 척추경 나사못으로 고정되었던 골절 추체 인접부위의 분절운동이 보다 회복되는 것이 발견 되었으며, 이는 임상적 증상 호전의 생역학적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번연구는 후향적 연구라는 점, 환자 대상군의 크기, 비교적 짧은 추시관찰 기간, 단순한 방사선학적 평가등이 제한점으로 작용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요약 ⅰ

차례 iv

그림차례 v

표차례 vi

Ⅰ. 서론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2

A. 연구대상 2

B. 대조군의 선택 2

C. 연구제외군 2

D. 골유합의 방사선학적 확인 2

E. 골유합의 방사선적 측정 변수 3

F. 임상적 결과의 분석 변수 3

G. 통계분석 4

Ⅲ. 결과 4

A. Demographic data의 분석 4

B. 골유합의 방사선적 측정 변수들의 변화 분석 4

C. 임상적 결과의 비교 분석 4

Ⅳ. 고찰 5

Ⅴ. 결론 8

참고문헌 9

ABSTRACT 11
-
dc.language.isoko-
dc.title흉요추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후 척추경 기기제거술의 효용성-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515-
dc.subject.keyword척추 유합-
dc.subject.keyword척추경 기기제거술-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의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 준호-
dc.date.awarded2013-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3-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