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골반 입구상 및 출구상 사진의 입구각 45도, 출구각 45도 촬영기법은 과학적 근거가 없는 경험적인 기법이다. 최근 미국인을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각각 25도와 60도의 입구 및 출구각을 사용하는 것이 골반의 구조를 보는 데 더 유용하다고 보고하였다. 동양인과 서양인의 골반 지표들의 차이를 고려하여 저자들은 한국인의 실정에 맞는 입구 및 출구각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0년 8월까지 본원에서 골반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고, 골반환에 골절이 없는 30세 이상 60세 이하의 100명(여자 50명, 남자 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하여 골반 입구 및 출구상 방사선 사진에서 평가되는 골반 구조에 접선 및 수직이 되는 데 필요한 입구 및 출구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제1, 2 천추체의 전방을 보기 위한 적절한 입구각은 각각 24.2도, 27.9도였으며 제1, 2 천추체에 수직이 되는 출구각은 각각 54.8도, 52.3도였다. 측정된 입구 및 출구각 값들의 남녀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골반의 입구 및 출구상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는 데 있어 종전의 45도가 아닌 각각 25도, 55도가 추천되며 이로써 정확환 골반 구조를 평가할 수 있다.
Purpose: Until now, pelvic injuries have been evaluated with 45° inlet and 45° outlet radiographs. Following these customary guidelines may not produce the best plane to evaluate pelvic injury due to variability of pelvic anatomy. Recent data based on the American population suggested 25° and 60° as the optimal angle for each inlet and outlet views, respectively. We hypothesized that inlet and outlet radiographic views to examine the clinically relevant landmarks vary from routine 45° inlet and outlet views and aimed to find optimal angles for Korean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consecutive patients, aged between 30 to 60 years (50 male and 50 female patients), without pelvic ring disruption or fractures who had undergone routine axial pelvic computed tomography scans were retrospectively identified. The optimal inlet and outlet angles required to profile the clinically relevant pelvic anatomy were quantified for each patient.
Results: The optimal inlet angle to profile the anterior body of S1 and S2 required an average caudal tilt of 24.2° and 27.9°, respectively. The average outlet angle perpendicular to the body of S1 was 54.8° and perpendicular to S2 was 52.3°. The optimal angles were the same for male and female patients and were independent of patient age.
Conslusion: Screening inlet and screening outlet radiographs made at 25° and 55°, respectively, are recommended for viewing clinically relevant osseous pelvic anatomy in Kore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