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Korean Guidelines for Post-polypectomy Colonoscopic Surveillanc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 동훈-
dc.contributor.author홍, 성노-
dc.contributor.author김, 영호-
dc.contributor.author홍, 성필-
dc.contributor.author신, 성재-
dc.contributor.author김, 성은-
dc.contributor.author이, 보인-
dc.contributor.author이, 석호-
dc.contributor.author박, 동일-
dc.contributor.author김, 현수-
dc.contributor.author양, 석균-
dc.contributor.author김, 효종-
dc.contributor.author김, 세형-
dc.contributor.author김, 현정-
dc.contributor.author다학회기반 대장폴립 진료지침 개발 실무위원회-
dc.date.accessioned2014-03-17T23:49:44Z-
dc.date.available2014-03-17T23:49:44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issn1598-9100-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9735-
dc.description.abstractPost-polypectomy surveillance has become a major indication for colonoscopy as a result of increased use of screening colonoscopy in Korea. However, because the medical resource is limited, and the first screening colonoscopy produces the greatest effect on reducing the incidence and mortality of colorectal cancer,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postpolypectomy surveillance. In the present report, a careful analytic approach was used to address all available evidences to delineate the predictors for advanced neoplasia at surveillance colonoscopy. Based on the results of review of the evidences, we elucidated the high risk findings of the index colonoscopy as follows: 1) 3 or more adenomas, 2) any adenoma larger than 10 mm, 3) any tubulovillous or villous adenoma, 4) any adenoma with high-grade dysplasia, and 5) any serrated polyps larger than 10 mm. In patients without any high-risk findings at the index colonoscopy, surveillance colonoscopy should be performed five years after index colonoscopy. In patients with one or more high risk findings, surveillance colonoscopy should be performed three years after polypectomy. However, the surveillance interval can be shortened considering the quality of the index colonoscopy, the completeness of polyp removal, the patient’s general condition, and family and medical history. This practical guideline cannot totally take the place of clinical judgments made by practitioners and should be revised and supplemented in the future as new evidence becomes available.-
dc.description.abstract1. 기준대장내시경검사에서 샘종이 3개 이상 발견된 환자는 추적대장내시경검사에서 진행신생물이 발견될 위험이 증가한다.

2. 기준대장내시경검사에서 10 mm 이상 크기의 샘종이 발견된 환자는 추적대장내시경검사에서 진행신생물이 발견될 위험이 증가한다.

3. 기준대장내시경검사에서 관융모 또는 융모샘종이 발견된 환자는 관샘종이 발견된 환자에 비해 추적대장내시경검사에서 진행신생물이 발견될 위험이 증가한다.

4. 기준대장내시경검사에서 제거한 샘종이 고도이형성을 동반한 경우, 저도이형성을 동반한 경우에 비해 추적대장내시경검사에서 진행신생물이 발견될 위험이 증가한다.

5. 기준대장내시경검사에서 10 mm 이상의 톱니모양폴립이 발견된 환자는 추적대장내시경검사에서 진행신생물의 발생위험이 증가한다.

6. 추적검사에서 진행신생물 발생의 고위험군은 기준대장내시경검사에서 샘종의 개수가 3개 이상, 가장 큰 샘종의 크기가 10 mm 이상, 관융모 또는 융모샘종, 고도이형성을 동반한 샘종, 또는 크기 10 mm 이상의 톱니모양폴립 중 한 가지 이상의 소견이 진단된 경우이다.

7. 일정한 자격을 갖춘 대장내시경의사가 양호한 대장정결 상태에서 양질의 기준대장내시경검사를 시행하였음을 전제로, 기준대장내시경검사 소견이 폴립절제 후 진행신생물의 발생 고위험군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추적대장내시경검사를 폴립절제 후 5년에 시행할 것을 권고한다. 그러나, 상기의 전제조건이 만족되지 않거나 기준대장내시경검사 이전의 대장내시경검사에서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소견을 보였던 경우에는 기준대장내시경 소견이 고위험군에 해당되지 않더라도 추적검사 기간을 단축할 것을 권고한다.

8. 일정한 자격을 갖춘 대장내시경의사가 양호한 대장정결 상태에서 양질의 기준대장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음을 전제로, 기준대장내시경검사소견이 폴립절제 후 진행신생물의 발생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경우는 추적대장내시경검사를 폴립절제 후 3년에 시행할 것을 권고한다. 그러나, 상기의 전제조건이 만족되지 않거나 기준대장내시경검사 소견, 샘종의 절제 상태, 환자의 전신 상태, 가족력 및 과거력 등을 고려하여 추적검사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
dc.language.isoko-
dc.titleKorean Guidelines for Post-polypectomy Colonoscopic Surveillance-
dc.title.alternative폴립절제 후 추적대장내시경검사 가이드라인-
dc.typeArticle-
dc.identifier.urlhttp://www.gut.or.kr/journal/view.html?book=Journal&tops=&start=0&scale=30&key=all&key_word=&Vol=010&Num=01&PG=&year1=&year2=&sort=Publisher_date+desc&aut_box=Y&sub_box=Y&sos_box=&key_box=&pub_box=Y&abs_box=&mod=vol&multi%5B%5D=374-
dc.subject.keywordColorectal Polyp-
dc.subject.keywordColonoscopy-
dc.subject.keywordPolypectomy-
dc.subject.keywordSurveillance-
dc.subject.keywordGuidelines-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신, 성재-
dc.type.localJournal Papers-
dc.citation.titleIntestinal research-
dc.citation.volume10-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12-
dc.citation.startPage89-
dc.citation.endPage10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Intestinal research, 10(1). : 89-109, 2012-
dc.identifier.eissn2288-1956-
dc.relation.journalidJ115989100-
Appears in Collections:
Journal Papers > School of Medicine / Graduate School of Medicine > Gastroenterology
Files in This Item:
Intestinal research_10(1)_89-109.pdfDownload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