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in Community-Dwelling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 관수-
dc.date.accessioned2011-01-05T02:08:31Z-
dc.date.available2011-01-05T02:08:31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004-
dc.description.abstractDecreased physical activity resulting form sedentary lifestyle is associated with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Persons with disability are supposed to have higher risks for mortality and morbidity compared to other able persons because they are mostly sedentary. Therefore, this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occupational, household, leisure-time and total physical activity in persons with disability and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The goal was to provid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more efficient intervention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53 persons with disability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78, persons with brain injury75), form five hospitals, two rehabilitation centers and Disabled Persons Association located in Gyeonggido. Physical Activity Scale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as used to measure physical activ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8 to August 24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interviews and self repor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 program version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ge distribution was from twenty years to sixty nine years. There were 109 men (71.24%) and 44 women (28.86%). Of the respondents 111 were married (72.55%) and 77 (50.33%) graduated high school.
2. The mean level of physical activity was 18.05±18.04 Mets hr/day. The majority of the physical activity was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t 16.00±16.92 Mets hr/day. The level of household physical activity was 1.72±4.83 Mets hr/day, and the level of occupational physical activity was 0.33±1.92 Mets hr/day.
3. The result from a backw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wo variables, age and self efficacy were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And these two variables accounted for 10% of physical activity in disabled persons.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in persons with disability, soli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trategies need to be established according to age and in order to increase self-efficacy, persons with disability will require new strategies of intervention programs.
-
dc.description.abstract신체활동량의 감소는 좌업식 생활에 의한 것이며, 좌업식 생활은 높은 이환율 그리고 사망률과 관련이 있다.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하여 좌업식 생활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건강의 위험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업활동, 가사활동, 여가활동 및 신체활동량을 분석하고 신체활동량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신체활동량을 증가시키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5개의 병원, 2개의 재활원 그리고 2개의 장애인협회에 소속된 장애인 153명(척수손상 장애인 78명, 뇌손상 장애인 75명)이었다. 신체활동량 측정은 Physical Activity Scale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를 이용해서 측정했다. 자료 수집은 2005년 8월 8일부터 8월 24일까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해서 조사자의 면담과 장애인의 자기기입을 통해 완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를 이용해서 회귀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연령은 20세에서 69세까지 분포하고 있었고, 남자가 109명(71.24%) 여자 가 44명(28.86%) 이었다. 그리고 응답자의 111명(72.55%)이 결혼했고, 77명(50.33%) 이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2) 신체활동량은 평균 18.05±18.04 Mets hr/day 이었다. 이 중 여가활동이 16.00±16.92 Mets hr/day으로 가장 많았고, 가사활동은 1.72±4.83 Mets hr/day 이었으며, 직업활 동은 0.33±1.92 Mets hr/day 이었다.
3) 후진소거법을 통한 회귀분석 결과 두 개의 변수가 신체활동량과 관계있었다. 나이와 자기효능감이 장애인의 신체활동량을 10%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장애인의 신체활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나이에 따른 신체활동량 증진 프로그램 전략과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새로운 전략과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감사의 글 ⅰ

차 례 ⅱ

표 차례 ⅳ

그림 차례 ⅴ

국문요약 ⅵ

제 1장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2

3. 용어의 정의 3

1) 신체활동량 3

2) 자기효능감 3

3) 일상생활수행능력 3

4) 사회적지지 4

5) 물리적 환경 4

제 2장 문헌고찰 5

1. 신체활동량의 개념과 측정 5

1) 신체활동의 개념 5

2) 신체활동량의 측정 방법 5

3) 신체활동량의 에너지 소비(kcal) 7

2. 장애인과 신체활동량 7

3. 신체활동량에 관한 선행연구 8

1) 일반적 특성과 신체활동량 8

2) 자기효능감과 신체활동량 9

3) 체질량지수(BMI)와 신체활동량 9

4) 장애인의 환경과 신체활동량 10

5) 사회적 지지와 신체활동량 13

6) 물리적 환경과 신체활동량 13

제 3장 연구방법 15

1. 연구 설계 15

2. 연구대상자 및 표집방법 15

3. 연구도구 16

1) 신체활동량 측정도구 16

2) 일상생활동작 측정도구 17

3)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17

4) 사회적 지지 측정도구 17

5) 물리적 환경 측정도구 18

6) 일반적 특성 측정도구 18

7) 장애특성 측정도구 19

8) 변수의 정의 및 측정 19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20

5. 분석방법 21

제 4장 연구결과 22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2

2. 연구대상자의 장애종류별 특성 24

3. 주요 연구변수들에 대한 기술통계 25

4. 신체활동량 관련요인 27

제 5장 논의 31

제 6장 결론 및 제언 40

1. 결론 40

2. 제언 41

참고문헌 42

부록 1. 49

부록 2. 61

부록 3. 62

부록 4. 63

ABSTRACT 64
-
dc.language.isoko-
dc.titleFactor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in Community-Dwelling-
dc.title.alternative재가 장애인의 신체활동량과 영향요인-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08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보건대학원-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박, 관수-
dc.date.awarded2006-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06-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Deartment of Public Health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