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Communication skills, Emotional labor and Burnou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 문숙-
dc.contributor.author권, 미나-
dc.date.accessioned2014-11-06T05:53:46Z-
dc.date.available2014-11-06T05:53:46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0810-
dc.description.abstract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skills, emotional labor,and burn out of ICU nurses. The subjects were 165 nurses who were working in the ICU of a university hospital.
We used GICC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modified by Hur (2003),for rating communication skills. To assess emotional labor, tools developed by Morris and Feldman (1996) and translated by Kim (1998) were used. The CBI(Copenhagen Burnout Inventory) developed by Kristen, Borritz, Villadsen and Christensen (2005) and translated by Ham(2011), was used to examine burn out. For statistical analysis, we uses SPSS 18.0 for Windows to calculate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s well as perform t-tests, one-way ANOVAs and Scheffé post-hocte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communication skills score of ICU nurses was 3.37± 0.36 points (maximum =5).
2. The mean emotional labor score was 3.24 ± 0.53. For the sub-domains, mean scores were as follows: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 3.56± 0.57;, emotional attention = 3.36± 0.57; and emotional dissonance=2.81±0.77.
3. The mean burn out scores was 2.98± 0.75. The mean for personal burn out was 3.13± 0.84, job-related burn out was 2.96± 0.73, and patient-related burn out was 2.85±0.9.
4. Burn o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skills(r=-.207,p=.008)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labor(r=.476, p<.001).
5.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CU nurses, communication skills differed with respect to working department (t=2.99,p=0.03)
6.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nurse in the intensive care unit was 31 years of age or age of the emotional labor(t=3.223, p=.042),the current period is more than 10 years working in the department (F = 3.13, p = .027), the nervous system work departmentsignificantdifference in the intensive care unit(F =3.74,p=.012).
We found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kills and burn out of ICU nurses and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 out. Nurses with better communication skills showed less burn out, and those with higher emotional labor experienced more burn out. Because communication skills reduce burn out, education and training for enhancing communication skills is necessary for ICU nurses. In addition, developing an intervention to reduce emotional labor and thereby decrease burn out is important.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감정노동 및 소진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증진하고 감정노동과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3개 상급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65명을 대상으로,2013년 2월 1일부터 2013년 2월 15일까지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사소통능력은 허경호(2003)가 개발한 포괄적 대인커뮤니케이션 능력척도 GICC (GlobalInterpersonalCommunication Competency Scale)를 사용하였고, 감정노동은 Morris 와 Feldman (1996)이 개발한 감정노동 도구를 김민주(1998)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소진은 Kristen, Borritz, Villadsen와 Christensen(2005)이 개발한 CBI(Copenhagen Burnout Inventory) 도구를 함미정(2011)이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상관계수, t-test와 ANOVA, Scheffé 사후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은 평균평점 3.37±0.36점으로 나타났다.
2.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정노동은 평균평점 3.24±0.53점으로, 감정노동 하부 영역별 로 보면 감정표현의 빈도 3.56±0.57점, 감정표현의 주의성 3.36±0.57점, 감정적 부조화 2.81±0.77점 순으로 나타났다.
3.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은 평균평점 2.98±0.75점으로, 소진의 하부영역별로 보면 개인적 소진이 3.13±0.84점, 직무관련 소진 2.96±0.73점, 환자관련 소진 2.85±0.90 점 순으로 나타났다.
4. 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소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r=-.207,p=.008),감정노동과 소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476,p=<.001).
5.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은 근무부서(t=2.99, p=.03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신생아계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다른 부서 간호사보다 점수가 높았다.
6.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은 31세 이상의 연령(t=3.223, p=.042),현부서 근무 기간이 10년 이상(F=3.13,p=.027),근무부서는 신경계 중환자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74,p=.012).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 요약 ⅰ

차 례 ⅳ

표 차 례 ⅵ

Ⅰ.서론

A.연구의 필요성 1

B.연구의 목적 4

C.용어의 정의 4

Ⅱ.문헌고찰

A.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소진7

B.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11

Ⅲ.연구방법

A.연구 설계 14

B.연구 대상 14

C.연구 도구 14

D.자료수집 방법 및 기간 16

E.윤리적 고려 16

F.자료 분석 방법 17

G.연구의 제한점 17

Ⅳ.연구결과

A.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18

B.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감정노동,소진의 정도20

C.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감정노동 및 소진과의 관계 23

D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24

E.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26

F.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 28

Ⅴ.논의 30

Ⅵ.결론 및 제언 36

참고문헌 39

부 록 46

Abstract 53
-
dc.language.isoko-
dc.titleCommunication skills, Emotional labor and Burnou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dc.title.alternative중환자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감정노동 및 소진-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094-
dc.subject.keyword중환자실 간호사-
dc.subject.keyword의사소통능력-
dc.subject.keyword감정노동-
dc.subject.keyword소진-
dc.subject.keywordIntensive care unit nurse-
dc.subject.keywordCommunication skills-
dc.subject.keywordEmotionallabor-
dc.subject.keywordBurnout-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간호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권, 미나-
dc.date.awarded2014-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4-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