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Symptoms among the Elderly in aCommunity : Interactiion of Age, Sex and Educ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 진-
dc.date.accessioned2011-01-12T07:25:32Z-
dc.date.available2011-01-12T07:25:32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117-
dc.description.abstractWorldwide, it's well-known tendency that the proportion of the elder population out of total population increases rapidly. In Korea,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over 65 was reported 7.9% as of February 2002 with the expectation of 14.4% by 2019 due to the increase in average lifespan and the decrease in childbirth rate. And this enables us to expect Korean society will be entering aging society soon. The significance of the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the elder population is gathering strengt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asual relationship of cognitive disorder and depression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sex,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on these area. In this study, 906 cases in 21 towns·counties·dong who reside in Whasung City were investigated with the target population over 65. The data analysis set consists of 793 responding cases excluding some rejects to respond. The summary of analysis is as follows.
A. There was a dominancy in female 577(72.8%) over male 216(27.2%) with the average age of 73.30(±5.88). In terms of educational background, "being educated" 450(56.7%) was higher than "no education" 343(43.3%). The prevalence rate of cognitive disorder was 185(23.3%). The prevalence rate of depression over the score 8 was 200(25.2%) and over the score 10 was 127(16.0%).
B. The score of K-MMSE and SGDS were investigated by each group of sex, age, educational and religious background. The average score of K-MMSE and SGDS were 25.43(±3.38) and 4.97(±3.97) respectively. There w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K-MMSE between each group of sex,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SGD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was observed between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group of religious background did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oth in K-MMSE and SGDS.
C. As a result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mpensating sex,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which affect the relationship of K-MMSE and SGDS indepently, there was observ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disorder and depression, sex, age, or educational background.
In addition, the interaction by sex,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for the relationship of cognitive disorder and depression was assessed. As a result, the interaction by sex and depression did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disorder (p=0.434). The interaction by age and depression (p=0.595), or by educational background and depression (p=0.958) did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disorder.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depression, sex,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have its own effect on cognitive disorder in independent way.
-
dc.description.abstract전 세계적으로 노인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도 평균수명의 향상과 출산률의 저하 등에 힘입어 2002년 2월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전체 인구의 7.9%이며, 2019년에는 14.4%에 이르러 노령사회에 접어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노인에 있어 인지기능과 우울증상의 중요성이 대두되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령사회에서 대두되는 인지장애와 우울증상의 관계성을 연구하고 성별, 연령, 학력에 대한 상호작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화성시 65세 이상의 노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1개 읍·면·동을 방문하여 906명의 노인을 검진하였으며, 일부 항목에 대한 응답 거부를 제외한 793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자는 남자가 216(27.2%)명, 여자가 577(72.8%)명으로 여자의 수가 더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73.30(±5.88)세로 나타났다. 학력에서는 무학이 343(43.3%)명, 유학이 450(56.7%)명으로 조사되었다. 인지장애군은 185(23.3%)명이었으며, 우울증상 8점 기준에서 200(25.3%)명, 10점 기준에서 127(16.0%)명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연령대, 학력, 종교에 따라 K-MMSE와 SGDS점수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전체 K-MMSE의 평균은 25.43(±3.38)이며, SGDS는 4.97(±3.97)점으로 나타났다. K-MMSE에서는 성별, 연령별, 교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으며, SGDS에서는 연령, 교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종교에서는 K-MMSE, SGDS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K-MMSE와 SGDS의 관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성별, 연령, 교육 수준을 교정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울증상, 성별, 연령, 학력에서 인지장애와 관련성을 보였다. 인지장애와 우울증상에 대한 관련성에서 연령, 성별, 학력에 따른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분석해 본 결과 성별과 우울증상의 상호작용은 인지장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p=0.434). 연령과 우울증상의 상호작용(p=0.595), 학력과 우울증상의 상호작용(p=0.958) 모두에서 인지장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우울증상과 성별, 연령, 학력 모두 독립적으로 인지장애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요약 = ⅳ

제1장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목적 = 3

3. 용어의 정의 = 4

제2장 이론적 배경 = 5

1. 치매 = 5

2. K-MMSE cut-off point = 7

3. 우울 = 8

4. 축약판 GDS의 cut-off point = 10

5. 인지장애와 우울증의 관련성 = 11

제3장 연구방법 = 15

1. 연구설계 = 15

2. 연구자료 = 15

3. 분석방법 = 18

제4장 연구결과 = 19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9

2. 인지장애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4

3. 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우울증이 인지장애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 = 25

제5장 고찰 = 28

제6장 결론 = 31

참고문헌 = 32

부록 = 36

ABSTRACT = 38
-
dc.language.isoko-
dc.title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on Symptoms among the Elderly in aCommunity : Interactiion of Age, Sex and Education-
dc.title.alternative지역사회 노인의 인지장애와 우울증상과의 관련성-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322-
dc.subject.keyword인지장애-
dc.subject.keyword지역사회 노인-
dc.subject.keyword우울증-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보건대학원-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 진-
dc.date.awarded2008-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08-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Deartment of Public Health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