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Comparison of Marital Satisfaction, Fetal Attachment, and Fatherhood between High-Risk and Non High-Risk Group among the Pregnant Women's Spouses

Other Title
고위험군과 정상군 임부배우자의 결혼만족도, 태아애착과 부성정체성 비교
Authors
최, 경은
Advisor
송, 주은
Department
대학원 간호학과
Degree
Master (2016)
Abstract
본 연구는 고위험군과 정상군 임부배우자를 대상으로 결혼만족도, 태아애착과 부성정체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2개의 대학병원 분만실에 입원한 고위험군 임부배우자 70명과, 경기도 소재 2개의 산부인과 전문병원에 내원한 정상군 임부배우자 7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15년 3월부터 8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는 정현숙(2001)이 개발한 한국형 결혼만족도 척도를 정미라, 강수경과 이혜진(2012)이 수정한 척도로, Cranley(1981)가 개발한 모아애착 측정도구를 정미라 등(2012)이 수정한 척도로, Osgood 등이 개발한 어의구별척도를 양경미와 김순례(2010)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Wi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 way ANOVA, Schéffe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위험군과 정상군 임부배우자의 결혼만족도는 고위험군 임부배우자가 정상군 임부배우자 보다 낮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11, p=.037). 하위구성 요소인 정서적 영역에서도 고위험군 임부배우자가 정상군 임부배우자 보다 낮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1.98, p=.050), 교류적 영역에서도 고위험군 임부배우자가 정상군 임부배우자 보다 낮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1.99, p=.048).

태아애착은 고위험군 임부배우자가 정상군 임부배우자 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0.42, p=.673).

부성정체성은 고위험군 임부배우자가 정상군 임부배우자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t=-0.86, p=.389).



2. 고위험군과 정상군 임부배우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결혼만족도는 고위험군 임부배우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정상군 임부배우자에서 배우자의 임신주수(t=2.04, p=.045)와 조산경험(t=-2.38, p=.04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태아애착은 고위험군 임부배우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정상군 임부배우자에서 학력(F=4.05, p=.021)과 아기순위(t=2.74, p=.00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성정체성은 고위험군 임부배우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정상군 임부배우자에서 학력(F=6.13, p=.003)과 수입(F=3.27, p=.04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고위험 임신이라는 상황은 산모는 물론 가족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임부의 가족 모두를 간호대상에 포함시켜야 하며, 부부간의 정서적 지원 및 긍정적인 의사소통 등을 통하여 임신기간 동안 고위험 임부 부부의 태아애착과 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는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Ajou Authors
송, 주은  |  최, 경은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