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The Association among Pain, Pain Coping and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Dwelling Elderly with Chronic Pai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 미숙-
dc.contributor.author배, 지원-
dc.date.accessioned2016-11-24T01:14:56Z-
dc.date.available2016-11-24T01:14:5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2997-
dc.description.abstract만성통증 재가노인의 통증, 통증대처, 삶의 질



본 연구는 만성통증이 있는 재가노인의 통증, 통증대처, 삶의 질 정도를 확인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삶의 질을 높이는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S시 소재 Y구 보건소의 방문보건센터에 등록된 65세 이상 만성통증 재가노인 150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5년 7월 23일부터 2015년 8월 27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사용하여 통증정도, Brown과 Nicassio(1987)가 개발한 PMI(Pain Management Inventory)를 박춘자(1995)가 번역·역 번역한 통증대처와 세계보건기구가 개발한 World Health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100(WHOQOL-100)을 기초로 민성길 등(2000)이 수정한 한국판 WHOQOL –BREF 삶의 질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통증정도(최고 10점)는 평균 6.90±1.35점, 적극적 통증대처점 수는 평균 18.63±3.50점, 소극적 통증대처점수는 평균 29.37±5.01점, 삶의 질(최고 5점)은 평균 2.96±0.51점이었으며, 하위영역으로 신체영역의 삶의 질 이 2.59±0.62점으로 가장 낮았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을 확인해 본 결과 가구유형 (F=-3.563, p<.001), 건강상태(F=28.625, p<.001), 통증양상(F=7.996,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통증정도와 삶의 질(r=-.335, p<.001), 소극적 대처점수(r=-.261, p<.001), 적극적 대처점수(r=-.193, p<.001)간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한편, 삶의 질과 소극적 통증대처점수(r=.266, p<.001), 적극적 통증 대처점수(r=.541, p<.001)간에는 유의한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적극적 통증대처점수 (ß=.386), 지각된 건강상태는 보통(ß=.286), 가족세대(ß=.157), 소극적 통 증대처점수(ß=.154)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8.9%였다.



따라서 만성통증 재가노인이 적극적으로 통증을 대처할 수 있도록 통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적극적 통증대처 방법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는 전략적 방안이 필요하다.



만성통증 재가노인의 통증, 통증대처, 삶의 질



본 연구는 만성통증이 있는 재가노인의 통증, 통증대처, 삶의 질 정도를 확인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삶의 질을 높이는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S시 소재 Y구 보건소의 방문보건센터에 등록된 65세 이상 만성통증 재가노인 150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5년 7월 23일부터 2015년 8월 27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사용하여 통증정도, Brown과 Nicassio(1987)가 개발한 PMI(Pain Management Inventory)를 박춘자(1995)가 번역·역 번역한 통증대처와 세계보건기구가 개발한 World Health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100(WHOQOL-100)을 기초로 민성길 등(2000)이 수정한 한국판 WHOQOL –BREF 삶의 질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통증정도(최고 10점)는 평균 6.90±1.35점, 적극적 통증대처점 수는 평균 18.63±3.50점, 소극적 통증대처점수는 평균 29.37±5.01점, 삶의 질(최고 5점)은 평균 2.96±0.51점이었으며, 하위영역으로 신체영역의 삶의 질 이 2.59±0.62점으로 가장 낮았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을 확인해 본 결과 가구유형 (F=-3.563, p<.001), 건강상태(F=28.625, p<.001), 통증양상(F=7.996,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통증정도와 삶의 질(r=-.335, p<.001), 소극적 대처점수(r=-.261, p<.001), 적극적 대처점수(r=-.193, p<.001)간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한편, 삶의 질과 소극적 통증대처점수(r=.266, p<.001), 적극적 통증 대처점수(r=.541, p<.001)간에는 유의한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적극적 통증대처점수 (ß=.386), 지각된 건강상태는 보통(ß=.286), 가족세대(ß=.157), 소극적 통 증대처점수(ß=.154)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8.9%였다.



따라서 만성통증 재가노인이 적극적으로 통증을 대처할 수 있도록 통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적극적 통증대처 방법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는 전략적 방안이 필요하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목적 2

C. 용어의 정의 3

Ⅱ. 문헌고찰 4

A. 만성통증 4

B. 통증대처 5

C. 삶의 질 7

Ⅲ. 연구방법 9

A. 연구 설계 9

B. 연구대상 9

C. 연구도구 10

D. 자료수집방법 11

E. 윤리적 고려 11

F. 자료분석방법 11

Ⅳ. 연구결과 13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

B. 연구대상자의 통증정도와 통증대처점수 15

C.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 16

D.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17

E. 연구 대상자의 통증정도, 통증대처점수, 삶의 질의 상관관계 20

F.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2

Ⅴ. 논의 24

Ⅵ. 결론 및 제언 29

참고문헌 32

부 록 38

ABSTRACT 43
-
dc.language.isoko-
dc.titleThe Association among Pain, Pain Coping and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Dwelling Elderly with Chronic Pain-
dc.title.alternative만성통증 재가노인의 통증, 통증대처,삶의 질-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810-
dc.subject.keyword통증-
dc.subject.keyword통증대처-
dc.subject.keyword삶의 질-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간호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배, 지원-
dc.date.awarded2016-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6-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