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50세 이상 일부 성인의 대장내시경 검진 수행 관련요인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 윤환-
dc.contributor.author정, 해숙-
dc.date.accessioned2016-12-04T23:27:57Z-
dc.date.available2016-12-04T23:27:5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309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대장내시경 검진률을 향상시키고자 50세 이상 일부 성인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하여 대장내시경 검진 수행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임의표본추출한 50대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Lee 등(2002)이 한국형으로 개발한 유방암 건강신념 측정도구(K-CHBMS)와 Rawl 등(2001)이 개발한 Colonoscopy Benefits and Barriers Scale을 사용하여 설문조사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총 119부였고, SPSS Window를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건강신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건강신념 평균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성별, 연령, 학력, 수입, 민영보험 가입여부, 건강관심도, 규칙적 운동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반적 특성과 대장내시경 검진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을 실시한 결과 수입과 건강관심도에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내시경 검진여부와 건강신념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그룹간 건강신념 평균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심각성, 유익성, 장애성, 자기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장내시경 검진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적 사항을 통제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각성, 장애성,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장내시경 검진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심각성, 자기효능감을 높게 인지하고, 장애성을 낮출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과 교육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8

1. 건강신념모델 8

2. 대장암 검진행위와 관련된 건강신념 11



Ⅲ. 연구방법 14

1. 연구설계 14

2. 연구대상자 및 표본 14

3.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15

4. 연구도구 15

5. 분석방법 18



Ⅳ. 연구결과 19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9

2. 대상자의 건강신념 21

3. 대상자의 대장내시경 검진 여부 23

4. 일반적 특성과 건강신념 23

5. 대장내시경 검진여부와 건강신념 28

6. 일반적 특성과 대장내시경 검진 30

7. 대장내시경 검진 관련요인 32

Ⅴ. 논의 35



Ⅵ. 결론 39



참고문헌 ­ 40

부록 46

영문초록 58
-
dc.language.isoko-
dc.title50세 이상 일부 성인의 대장내시경 검진 수행 관련요인-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259-
dc.subject.keyword대장내시경-
dc.subject.keyword건강신념-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보건대학원-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 해숙-
dc.date.awarded2016-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6-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Deartment of Public Health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