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Nurses' Perception of Safety Climat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Attitud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 문숙-
dc.contributor.author노, 미나-
dc.date.accessioned2018-11-08T10:22:33Z-
dc.date.available2018-11-08T10:22:33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639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b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perception of safety climat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attitud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24 to September 10, 2016.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8 nurses who had work experience of more than 3 months, which usually considered as a hospital adjustment period, at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and who directly provide nursing to the patien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51 final questionnaires. As to the research tool, PSCHO(Patient Safety Climate in Healthcare Organization) developed by Singer, et al(2009) which then translated by Son, Myung-ji(2012) was used for the safety climate. For organizati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the tool developed by Downs and Hazen (1977) and modified by Hong, Eun-Mi(2007) was used. We used the tool developed by Park, Mi-jung(2013) for the patient safety attitude.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we presented the analysis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ational safety climate perceived by the nurses was 3.08±0.31 on average, 3.18±0.38 for organizati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3.69±0.39 for patient safety attitude.
2. The difference of the organizational safety climat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working department(F=4.73, p=0.004). Also, as to the organizational safety climate, surgery department(3.37±0.32)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emergency room(3.15±0.27).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safety attitud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safety climat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r=.607, p<.001), organizational safety climate and patient safety attitude(r=.453, p<.001), and patient safety attitud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r=.481,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th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members in order that positive and open organizational safety atmosphere for accident management in hospitals can be established which requires to construct an organization system to this end. In addition, organizational efforts should be made to positively improve the patient safety attitude of nurses by developing a communication program for information sharing, establishing safety-related strategies that meet the flow of inform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and conducting regular meeting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지하는 조직의 안전분위기, 조직의사소통만족과 환자안전태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환자안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8월 24일부터 2016년 9월 10일까지이며,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일개 대학병원에서 통상 병원 적응기간으로 고려되는 3개월 이상의 업무경력이 있고 환자에게 직접 간호를 제공하는 일반간호사 158명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이중 최종 151명의 설문지에 대해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안전분위기는 Singer등(2009)의 연구에서 PSCHO(Patient Safety Climate in Healthcare Organization)개발한 도구를 손명지(2012)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조직의사소통만족은 Downs와 Hazen(1977)이 개발하여 홍은미(2007)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 환자안전태도는 박미정 등(2013)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 후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사가 인지하는 조직의 안전분위기는 5점 만점에 평균 3.08±0.31점이었으며, 조직의사소통만족 평균 3.18±0.38점, 환자안전태도 평균 3.69±0.39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의 안전분위기 차이는 근무부서(F=4.73, p=0.004)에 한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외과계(3.37±0.32점)가 응급실(3.15±0.27점) 보다 조직의 안전분위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의사소통만족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조직의 안전분위기와 조직의사소통만족(r=.607, p<.001), 조직의 안전분위기와 환자안전태도(r=.453, p<.001), 환자안전태도와 조직의사소통만족(r=.481, p<.001) 간 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병원에서의 사고관리에 대한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조직의 안전분위기가 정착될 수 있도록 구성원들의 부정적인 인식의 개선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하며, 이를 위한 조직의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정보공유에 대한 의사소통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조직 내 정보의 흐름에 부합하는 안전관련 전략을 마련하고, 부서 별 특성에 맞는 정기적인 간담회를 개최하여 간호사들의 환자안전태도를 긍정적으로 개선하려는 조직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6
A. 환자안전태도 6
B. 안전분위기와 환자안전태도 8
C. 조직의사소통만족과 환자안전태도 10

Ⅲ. 연구방법 13
A. 연구설계 13
B. 연구대상 13
C. 연구도구 13
D. 자료수집방법 15
E. 윤리적 고려 15
F. 자료분석방법 16

Ⅳ. 연구결과 17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
B. 연구대상자의 조직의 안전분위기, 조직의사소통만족, 환자안전태도 정도 19
1. 조직의 안전분위기, 조직의사소통만족, 환자안전태도 점수 19
2. 조직의 안전분위기 문항별 점수 21
3. 조직의사소통만족 문항별 점수 24
4. 환자안전태도 문항별 점수 26
C. 조직의 안전분위기, 조직의사소통만족, 환자안전태도의 상관관계 28
D.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의 안전분위기, 조직의사소통만족, 환자안전태도의 차이 29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의 안전분위기 차이 29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의사소통만족의 차이 31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태도의 차이 33

Ⅴ. 논의 35

Ⅵ. 결론 및 제언 41

참고문헌 43
부 록 50
ABSTRACT 60
-
dc.language.isoko-
dc.titleNurses' Perception of Safety Climat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Attitude-
dc.title.alternative간호사가 인지하는 안전분위기, 조직의사소통만족과 환자안전태도-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610-
dc.subject.keywordNurses-
dc.subject.keywordSafety Climate-
dc.subject.keyword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dc.subject.keywordPatient Safety Attitude-
dc.subject.keyword간호사-
dc.subject.keyword안전분위기-
dc.subject.keyword조직의사소통만족-
dc.subject.keyword환자안전태도-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간호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노, 미나-
dc.date.awarded2017-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7-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