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Relationships between preceptor nurses'burnout,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Other Title
프리셉터 간호사의 소진, 사회적 지지 및 임파워먼트의 관계
Authors
김, 수경
Department
대학원 간호학과
Degree
Master (2017)
Abstract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burnout,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of preceptor nurses. A total of 112 n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9, 2016 to September 9,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The mean score of burnout of preceptor nurses was 2.97 out of 5 points. The mean scores of supervisors' and colleagues' social support for preceptor nurses were 3.06 and 3.44 out of 5 points, respectively. The mean score of empowerment of preceptor nurses was 3.66 out of 5 points. For burnou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receptor nurs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otal working experienc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eceptor job, workload of the preceptor role and the will to continue the preceptor role. For the supervisors'social suppor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total working experience, working period at the current department, and satisfaction level with preceptor job, while for the colleagues'social suppor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level with the preceptor job and knowledge level on preceptorship. For empowerment, the age and knowledge level on preceptorship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controlling the age, total experience and career experience at the current depart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displayed between burnout and supervisors'social support, between burnout and colleagues'social support, and between burnout and empowerment. These results showed that burnout has been reduced with higher social support and empower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o strengthen social support for preceptor nurses, and to provide education and training for enhancing empowerment. Furthermore, it is required to e preceptorship system consistently, and to develop and apply intervention programs for reducing burnout of preceptor nurses.

본 연구는 프리셉터 간호사의 소진, 사회적 지지 및 임파워먼트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 대학병원에서 총 임상경력 만 3년 이상, 현 근무부서 경력 1년 이상인 간호사이면서 간호부에서 주관하는 프리셉터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최근 1년 사이에 프리셉터쉽을 경험한 간호사 1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8월 29일부터 9월 9일까지 진행되었다. 소진은 Pines, Aronson과 Kafry(1981)가 개발한 Burnout Measure(BM)를 홍근표(1984)가 번역하여 수정·보완한 도구로 이영희(2002)가 프리셉터 간호사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척도 중 간접적으로 지각한 지지척도, 임파워먼트는 Spreitzer(1995)가 개발한 Text of Items Measuring Empowerment를 정해주(1998)가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 Schéffe 사후검정,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프리셉터 간호사의 소진은 최대 5점에 평균평점 2.97±0.70점으로 나타났다. 소진의 하위 구성요소의 평균평점은 신체적 탈진 3.68±0.72점, 정신적 탈진 2.74±0.64점, 정서적 탈진 2.47±0.93점 순으로 나타났다.
2. 프리셉터 간호사의 상사의 사회적 지지는 최대 5점에 평균평점 3.06±0.66점으로 나타났으며, 동료의 사회적 지지는 3.44±0.66점으로 나타났다. 상사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 구성요소의 평균평점은 정보적 지지 3.25±0.75점, 평가적 지지 3.15±0.61점, 정서적 지지 3.01±0.70점, 물질적 지지 2.83±0.73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동료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 구성요소에서는 평가적 지지 3.54±0.61점, 정보적 지지 3.37±0.69점, 정서적 지지 3.31±0.77점, 물질적 지지 3.30±0.77점 순으로 나타났다.
3. 프리셉터 간호사의 임파워먼트는 최대 5점에 평균평점 3.66±0.44점이었으며 하위 구성요소에서는 의미성 4.03±0.70점, 자기결정력 3.80±0.60점, 역량 3.75±0.59점, 영향력 3.07±0.66점 순으로 나타났다.
4. 프리셉터 간호사의 특성에 따른 소진에서는 총근무경력(F=3.41, p=.037), 프리셉터업무 만족정도(F=29.83, p<.001), 프리셉터역할의 업무량(F=3.58, p=.031), 프리셉터역할의 지속의지(F=59.01,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상사의 사회적 지지에서는 결혼상태(t=3.07, p=.003), 총근무경력(F=3.62, p=.030), 현부서근무기간(F=5.95, p=.004), 프리셉터업무 만족정도(F=3.67, p=.029)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동료의 사회적 지지에서는 프리셉터업무 만족정도(F=3.42, p=.036), 프리셉터쉽에 대한 지식정도(F=3.04, p=.03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파워먼트에서는 연령(t=-2.20, p=.030), 프리셉터쉽에 대한 지식정도(F=3.01, p=.033)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연령, 총근무경력, 현부서근무경력을 통제한 후 소진과 상사의 사회적 지지(r=-.41, p<.001), 소진과 동료의 사회적 지지(r=-.21, p=0.31), 소진과 임파워먼트(r=-.30, p=.002)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사의 사회적 지지와 임파워먼트(r=.31, p=.001), 동료의 사회적 지지와 임파워먼트(r=.24, p=.011)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프리셉터 간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임파워먼트가 증가하고, 사회적 지지와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소진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프리셉터 간호사의 사회적 지지 강화를 위한 체계 마련 및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한 교육과 훈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프리셉터 간호사의 특성에 따라 소진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프리셉터 간호사의 소진 예방 및 경감을 위한 프리셉터쉽 제도의 지속적인 개선과 소진 관리를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Ajou Authors
김, 수경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