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impacted teeth in Korean

Other Title
한국인의 매복치 유병률 및 발생빈도에 관한 연구
Authors
전, 세정
Department
보건대학원
Degree
Master (2017)
Abstract
PURPOS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incidence, and bilateral occurrence of impacted teeth in Koreans.
MATERIALS & METHOD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5,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Korean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Dental Hospital, Ajou University Hospital. The patient's initial electronic chart and panoramic radiographs were used to evaluate the diagnosis of the impacted tooth, the eruption pattern of the opposit impacted tooth of the impacted tooth On panoramic radiographs, only complete impaction of the permanent tooth was included, and impaction of the deciduous tooth, supernumerary tooth, third molar and systemic disease, if the permanent tooth is not erupted due to the retention of the deciduous tooth, but the eruption of the permanent tooth is expected when the deciduous tooth is extracted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RESULTS: The prevalence rate was 16.7%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o gender(p=0.745). The frequency of occurrence by age was the highest 57.7% under 12 year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01). The average number of impacted tooth per patient was 1.35 ± 0.68 and the minimum was 1, the maximum was 6. Two hundred seventy two impacted teeth were found in maxilla, and 122 were in mandible. The incidence in maxilla was the order of canine, second premolar, central incisor, In mandible, the incidence as the order of second molar, second premolar, and first molar(p=0.001).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left and right impacted tooth was 189 on the left side and 205 on the right side, and the frequency was similar in the order of second premolar, second molar, and canine(p=0.899). The unilateral impaction frequency was 236 80.5%. The eruption pattern of the opposit impacted tooth of the impacted tooth were the most frequent in type I 63.7%.
CONCLUS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occurrence of impacted teeth. As a result of eruption pattern of the opposit impacted tooth of the opposed teeth, 32.2% of the impacted tooth occurred in both right and left sides, and 2.3% in the case of the left and right teeth missing.

목적: 한국인에서 제3대구치 이외 치아의 매복치 유병률, 발생빈도 및 양측성 발생 여부를 연구한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아주대학교 치과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한 한국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초진 전자차트기록과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통해 매복치의 진단, 매복치의 반대 측 동명치아에 대한 맹출 정도 및 맹출 경로를 평가하였다. 파노라마 방사선사진 상에서 영구치의 완전 매복만을 포함시켰으며 유치, 과잉치, 제3대구치, 전신질환자, 유치의 잔존으로 영구치가 맹출 되지 못하고 있으나 유치 발치 시 영구치의 정상 맹출이 예상되는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매복치 보유 비율은 남자가 822명 중 140명, 여자가 930명 중 153명으로 16.7%의 유병률을 보였으며 성별에 따른 발병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745). 연령별 발생 빈도는 12세 이하가 169명 57.7%로 가장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1인당 매복치 보유수는 1개가 211명 72.0%로 가장 많았다. 환자 1인의 평균 보유 매복치 수는 평균 1.35±0.68개, 최소 개수는 1, 최대 개수는 6이었다. 상하악 매복치 빈도는 상악이 272개, 하악이 122개로 상악이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상악은 견치, 제2소구치, 중절치 순으로, 하악은 제2대구치, 제2소구치, 제1대구치 순으로 높은 매복치 발생 빈도를 보였다(p=0.001). 좌우측 매복치 빈도는 좌측이 189개, 우측이 205개로 비슷한 빈도를 보였으며 좌우측 둘 다 제2소구치, 제2대구치, 견치 순으로 높았다(p=0.899). 매복치 양측성 및 편측성 발생 빈도는 236개 80.5%로 편측이 더 높았다. 매복치의 반대 측 동명치아에 대한 맹출 정도 및 맹출 경로는 TypeⅠ이 251개 63.7%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인의 매복치 유병률 및 발생빈도를 연구하였다. 또한 매복치의 반대 측 동명치아에 대한 맹출 정도 및 맹출 경로를 평가한 결과, 좌우 양측성으로 발생한 치아 매복은 32.2%, 매복치아의 좌우 동명치아가 결손 된 경우는 2.3%의 결과를 보였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Deartment of Public Health > Master
Ajou Authors
전, 세정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