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Conventional sonography and sonoelastographic diagnostic performances in the patients of breast biopsy

Other Title
초음파 및 탄성초음파의 유방암 진단 정확도 비교
Authors
양, 은희
Department
보건대학원
Degree
Master (2017)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sonoelastogrphy for differentiation between benign and malignancy. Between July and November in 2013, we were included Breast lesions 394 cases with sono-guided biopsy which have raw data sonographic images of breast elastography. Of the 335 patients, their ages ranged from 15 to 89 (mean age 44.96± 10.66 years) A total of 394 breast masses in 335 women included in study group, no image of elastography in Ultrasonography image were excluded. Elastographic findings were classified as benign and malignancy. We are implemented that strain ratio and elasticity score of sonoelastographic images. We are analysed the comparison of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between benign and malignancy.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 highest result of area under curve is Elasticity Score (AUC= 0.906, p<0.001) Furthermore, the AUC of Strain Ratio is 0.897(p<0.001). The performance of breast elastography has useful to some extent. The combination of SR and ES tool is a little helpful for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need further study whether may reduce the number of unnecessary invasive biopsies or not.

우리나라의 유방암 발생률이 해마다 증가추세에 있다. 이러한 증가추세로 유방암의 조기검진과 진료에 따른 진단적 검사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조직 검사를 시행한 환자 대상으로 검사한 탄성초음파 영상을 이용하여 탄성초음파에서 얻어진 탄성계수와 탄성지수가 양성과 악성 종괴를 감별하거나 예측도와 정확도를 보고자 하였다. 2013년부터 7월부터 11월까지 유방 초음파 유도 조직검사를 한 여성대상으로 하여 EMR 정보를 연구에 활용하였으며 나이, Mass Size, B-Mode 초음파, 탄성계수, 탄성지수를 주요 변수로 하여 병변의 상태와 탄성초음파의 진단적 정확도가 연관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 335명의 나이는 15세에서 89세까지였고, 평균나이는 44.86세였다(표준편차 10.66) 본 연구의 결과 B-Mode 초음파의 BIRADS Category 변수의AUC는 0.871이고, cutoff value 3을 기준으로 한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100%, 2.35%였다. 탄성지수(ES)의 AUC 는 0.906, 민감도 70.83%, 특이도92.95%로 나왔다. B-Mode초음파와 탄성초음파 검사의 간격 우도비 분석 결과는 탄성지수와 탄성계수가 높을수록 유방암으로 진단될 확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기존의 B-Mode 초음파 판독 결과에서 보여줬듯이 cutoff value 3을 기준으로 한 특이도가 2.35%로 매우 낮았다. 하지만, B-Mode 초음파와 탄성계수의 결합 변수, B-Mode 초음파와 탄성지수의 결합 변수의 특이도가 꽤 높아 유방암일 가능성이 낮은 병변에 대해 불필요한 조직검사의 수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Deartment of Public Health > Master
Ajou Authors
양, 은희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