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The Effect of a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Education for the Older Adul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Other Title
슬관절 전치환술 노인환자의 자가통증조절기 교육 효과
Authors
김, 보민
Department
대학원 간호학과
Degree
Master (2018)
Abstract
The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only design for older adults suffering from tremendous pain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I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education for the older adults on knowledge of pain management and PCA and the level of pain. For this study, an Experimental group of 25 and control group of 25 were selected among the older adults who had the total knee arthroplasty at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from June 1, 2015 to September 30, 2017. The study measured the level of pain, knowledge on pain and PCA and consumption of analgesics by PCA for the older adults 24 hours and 48 hours respectively after preoperative PCA education including practicum. The study applied the knowledge scale on pain developed by McCaffery and Ferrell (1991), modified by Park and Shin (1994) and supplemented by Lee (2005). It also used the knowledge scale on PCA developed by Knoerl, Faut-Callahan, Paice and Shott (1999) and modified by Seo and Park (2002). The level of pain was measured using the numerical rating score (N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 23.0. The analysis included: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for general characteristics; χ²test, independent t-test and Fishesr’s exact test for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and,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for hypothesi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knowledge on pain manag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24 hours after preoperative PCA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t 4.08±0.95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2.48±0.96 (t=-5.90, p<0.001). The experimental group recorded the knowledge on pain management of 4.44±0.77, which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2.72±0.94 of the control group 48 hours after the surgery(t=-7.10, p<0.001).
2. The knowledge on PCA use of the experimental group 24 hours after preoperative PCA education was statistically higher at 4.96±1.49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3.40±0.82 (t=-4.60, p<0.001).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the knowledge on PCA use of 5.20±1.12 after 48 hours,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3.56±0.71 of the control group(t=-6.19, p<0.001).
3. The pain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24 hours after preoperative PCA education was presented at 6.56±1.47,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t 7.72±1.57 (t=2.69, p<0.010). The pain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5.08±1.44 after 48 hours,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6.32±1.22 of the control group(t=-3.29, p<0.002).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reoperative PCA education for older adults who were scheduled to have Total Knee Arthroplasty enhanced their knowledge on appropriate pain management and PCA use, increased PCA use adequately and reduced the pain level effectively after the surgery. Thus, PCA education should be offered to older adul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in clinical settings for effective pain management.

본 연구는 수술 후 많은 통증을 경험하고 있는 슬관절 치환술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통증조절기 교육이 통증관리 지식, 자가통증조절기 사용에 대한 지식, 통증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서 수술 후 노인환자의 통증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 유사 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경기도 소재 수원 A대학병원에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2015년 6월 1일부터 2017년 9월 30일 노인환자 중 선정기준에 부합된 대상자로 실험군 25명, 대조군 25명을 편의 표출하였다. 본 연구는 실물모형 실습을 포함한 수술 전 ‘자가통증조절기 교육’ 후 수술 24시간 시점과 수술 48시간 시점에 통증정도 통증관련 지식과 자가통증조절기 사용에 대한 지식, 자가통증조절기에 의한 진통제 사용량를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도구는 McCaffery와 Ferrell(1991)이 개발한 도구를 박영숙과 신영희(1994)가 수정하였고, 이는 다시 이명희(2005)가 수정 보완한 도구, 자가통증조절기 사용에 대한 지식 측정 도구는 Knoerl, Faut-Callahan, Paice와 Shott(1999)이 개발한 도구를 서효신과 박경숙(2002)이 수정 보완 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통증의 정도는 숫자 척도(Numerical Rating Score, NR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PC 23.0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백분율과 평균 표준, 두 집단 간의 동질성 분석은 χ²test, independent t-test, Fishesr’s exact test로 가설검정은 paired t-test, indepe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술 전 ‘자가통증조절기 교육’을 받고 수술 후 24시간 시점 실험군의 통증관리 지식은 4.08±0.95점, 대조군이 2.48±0.96점으로 실험군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5.90, p<0.001). 수술 후 48시간 시점의 통증관리 지식은 실험군이 4.44±0.77점, 대조군이 2.72±0.94점으로 실험군의 통증관리 지식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은 지지되었다(t=-7.10, p<0.001).
2. 수술 전 ‘자가통증조절기 교육’을 받고 수술 후 24시간 시점의 실험군의 자가통증조절기 사용에 대한 지식은 실험군이 4.96±1.49점, 대조군이 3.40±0.82점으로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높았으며(t=-4.60, p<0.001), 수술 후 48시간 시점 자가통증조절기 사용에 대한 지식은 실험군이 5.20±1.12점, 대조군이 3.56±0.71점으로 실험군의 자가통증조절기 사용에 대한 지식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가설은 지지되었다(t=-6.19, p<0.001).
3. 수술 전 ‘자가통증조절기 교육’을 제공 받은 수술 후 24시간 시점에서 통증정도는 실험군이 6.56±1.47, 대조군이 7.72±1.57으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낮았으며(t=2.69, p<0.010), 수술 후 48시간 시점의 통증정도는 실험군이 5.08±1.44, 대조군이 6.32±1.22으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t=-3.29, p<0.002)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에서 슬관절 전치환술이 예정된 노인환자에게 제공된 ‘자가통증조절기 교육’은 통증관리 지식과 자가통증조절기 사용에 대한 지식을 높여주어 수술 후 적절한 자가통증조절기 사용량을 증가시켜 수술 후 통증정도를 효과적으로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실무에서 수술 후 슬관절 전치환술 노인환자의 통증관리에 효과적인 자가통증조절기 교육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Ajou Authors
김, 보민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