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Stress on Dental Fear in patient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 한솔-
dc.date.accessioned2018-11-30T06:08:07Z-
dc.date.available2018-11-30T06:08:07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6571-
dc.description.abstractThis correlational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effects and relevance of dental patients’ self-efficacy and stress in dental fear.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20 people at dental clinics who were over 19 years old and had voluntary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through a survey (self-administration method) from the Oct 27 to the Nov 1 in 2017.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version 21.0,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dental fea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Second,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lf-efficacy and stress, and dental fear revealed that stress and dental fea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Third,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tress out of the two dependent variables had effects on dental fear; the higher the stress, the higher the dental fear.-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치과 내원환자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가 치과 공포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한 상관관계 연구이다. 치과 의료기관에서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가 있는 만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설문지(자기평가기입법)를 통해 2017년 10월 27일부터 11월 1일까지 총 120명에 의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IBM SPSS version 21.0으로 분석하였고,빈도분석, t-test 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기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치과공포의 관계에서는 성별,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 스트레스와 치과공포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스트레스와 치과 공포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다중회귀분석결과 두 종속변수 중 스트레스가 치과공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되면 치과공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자 및 표본
3. 용어의 정의
4.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5. 연구도구
6.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치과공포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과공포 차이 검정
4.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치과공포의 상관성
5.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치과공포의 관련성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
dc.language.isoko-
dc.title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Stress on Dental Fear in patients-
dc.title.alternative치과 내원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가 치과공포에 미치는 영향-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332-
dc.subject.keywordDental Fear-
dc.subject.keywordSelf-Efficacy-
dc.subject.keywordStress-
dc.subject.keyword치과공포-
dc.subject.keyword자기효능감-
dc.subject.keyword스트레스-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보건대학원-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 한솔-
dc.date.awarded2018-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8-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Deartment of Public Health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