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Association of oral health and periodontal status due to vitamin intake of adults Korea.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 세희-
dc.date.accessioned2018-11-30T06:08:08Z-
dc.date.available2018-11-30T06:08:08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657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periodontal disease according to vitamin intake in the age group of 30 to 65 years old using the data of the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or 2013, 2014 and 2015.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3 program and composite sample crossover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omposite sampl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and socioeconomic factors, health behaviors, oral health and periodontal disease according to vitamin intake. In the case of periodontal disease, the Community Periodontal Index of Treatment Needs (CPITN) was used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as population and socioeconomic factors, and drinking, smoking,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health behavior factors. When the oral health characteristics and periodontal diseases were analyzed by age group, the incidence of periodontal diseases was highest in the 50s and 60s.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frequency of tooth loss using oral health as an index. Especially, the prevalence of oral health and periodontal disease in diabetes and hypertension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health behavior factors, and as the severity of disease increased, oral health decreased and periodontal disease increa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periodontal disease according to vitamin intake, the presence of the implant and the periodontal disease were low in the oral health index of the subjects who consumed more than the recommended amount of vitamin C to the daily recommended amount of Korean, Respectively. Vitamin C should be used as an index for recommending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and periodontal disease prevention.-
dc.description.abstract영양소는 건강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중 비타민은 치주질환을 감소시키고, 장기적 관점으로 볼 때 구강건강을 증진 시킨다. 현재, 많은 현대인들이 과거에 비해 중요성을 인식하여 섭취하는 영양소이지만, 아직 연령대에 맞게 섭취하는 평균 권장섭취량에는 많이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비타민 섭취량에 따른 인구사회경제학적 요인, 건강 행태 요인, 구강건강 및 치주질환과의 연관성을 목적으로 한다.30세 이상 65세 미만 성인을 대상으로 2013년, 2014년, 2015년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모든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3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복합표본설계에 맞는 방법으로 복합표본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강건강을 평가의 경우, 치아 상실의 개념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존재여부와 보철물 상태를 이용하였다. 치주질환 여부의 경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치주조직 점수부여 원칙으로 사용한 지역사회치주요양필요지수(Community Periodontal Index of Treatment Needs, CPITN) 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인구사회경제학적 요인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건강행태 요인에서는 음주, 흡연, 고혈압, 당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령대 별로 구강건강 특성과 치주질환을 분석 하였을 때 50대와 60대에서 치주질환 빈도가 제일 높았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구강건강을 평가지표로 이용한 치아상실의 빈도도 높아졌다. 특히 건강행태요인에서 당뇨와 고혈압에서 구강건강과 치주질환의 유병률의 차이를 본 결과 질환이 심각해질수록 구강건강은 감소하고, 치주질환은 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비타민 섭취량에 따른 구강건강과 치주질환의 연관성을 분석해 본 결과, 한국인 하루 권장량 대비 비타민 C섭취량이 권장량 이상 섭취하는 대상자의 구강건강 평가 요인에서 임플란트 존재여부와 치주질환 여부가 모두 낮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연구 목적 및 이론적 배경 2
Ⅱ. 연구내용 4
1. 연구대상 4
2. 연구변수 5
3. 연구방법 7
Ⅲ.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10
2.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비타민 섭취량의 차이 12
3. 대상자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과 치주질환의 차이 16
4. 구강건강 및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9
Ⅳ. 고찰 23
Ⅴ. 결론 26
참고문헌 27
ABSTRACT 36
-
dc.language.isoko-
dc.titleAssociation of oral health and periodontal status due to vitamin intake of adults Korea.-
dc.title.alternative한국 성인의 비타민 섭취량에 따른 구강건강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3차년도) 자료 활용--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370-
dc.subject.keywordPeriodontiti-
dc.subject.keywordVitamin-
dc.subject.keywordOral health-
dc.subject.keyword치주질환-
dc.subject.keyword비타민-
dc.subject.keyword구강건강-
dc.subject.keyword영양-
dc.subject.keyword영양소-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보건대학원-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최, 세희-
dc.date.awarded2018-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8-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Deartment of Public Health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