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Self Care Competency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 수경-
dc.date.accessioned2018-11-30T06:08:08Z-
dc.date.available2018-11-30T06:08:08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6573-
dc.description.abstractThe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care competency and quality of life (QoL) in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DM)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with the aim to secure basic data for providing them with efficient nursing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were 112 patients with DM aged 60 or older who went to a university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ey understood and agreed with the study purpose.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April 1 to July 1, 2017. The self care competency of the participants was measured with the instrument developed by Geden and Taylor (1988) and modified and translated by SO (1992). The QoL was measur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WHOQOL-BREF translated by Min, et al (200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Scheffe Pear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1. The self care competency of the participants was 3.97±.79 on average (maximum 6), implying middle or high level. Its subscales were listed in the order of self management at 4.22±.86, followed by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t 4.15±.73, self regulatory factor at 4.07±1.08, cognitive factor at 4.00±.85, decision and judgment process at 3.85±.97 and physical function at 3.81±.92.
2. The QoL of the participants was in the middle at 3.08±.57 (maximum 5). The subdomains of the QoL showed that the social relationships domain recorded the highest score at 3.26±.70, followed by psychological domain (3.14±.65), environmental domain (3.14±.60) and physical domain (2.89±.65).
3. The participants with high school or higher education had significantly better self care competency than those with elementary school or lower education (F=5.45, p<.01). Those with a spouse (t=-3.42, p<.01) and with education about DM (t=3.89, p<.01) also presented significantly better self care competency than those without, respectively.
4. The participants with duration of illness for longer than 15 yea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quality of life that those with duration of illness for shorter than 15 years (t=-2.00, P<.04).
5. The self care competency of the participant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physical domain (r=0.630, p<.01), followed by psychological (r=0.418, p<.01), environmental (r=0.312, p<.01) and social relationships domains (r=0.279, p<.01). They were positive correlations and it was found that QoL of the participants improved as they had better self care competency.
The analysis suggested that self-care competency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DM had correl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ir QoL.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인 당뇨병 대상자에게 효율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노인 당뇨병 대상자의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고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경기도 소재 A대학병원 당뇨교육실에 내원한 60세 이상 노인 당뇨병 대상자 11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4월 1일부터 7월 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자가간호역량은 Geden과 Taylor(1988)가 개발하고 소향숙(1992)이 수정/번안한 도구, 삶의 질은 민성길 등(2000)이 한국어로 번역한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Pear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1. 대상자의 자가간호역량은 평균 3.97±.79점(최고 6점)으로 중상위수준이었으며, 이를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자기관리에 대한 주의력 영역」의 자가간호역량이 4.22±.86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정보추구행위(4.15±.73)」, 「자기조절에 관한 인식(4.07±1.08)」, 「인지적 측면(4.00±.85)」, 「의사결정 및 판단과정(3.85±.97)」, 「신체적 측면(3.81±.92)」의 자가간호역량 순이었다.
2. 대상자 삶의 질 점수는 3.08±.57점(최고 5점)으로 중간 수준이었으며, 이를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사회적 영역」삶의 질이 3.26±.70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심리적 영역(3.14±.65점)」,「환경적 영역(3.14±.60점)」,「신체적 영역(2.89±.65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역량은 고졸이상인 대상자가 초졸 이하인 대상자보다(F=5.45, p<.01), 배우자가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보다(t=-3.42, p<.01), 당뇨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보다(t=3.89, p<.01) 자가간호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유병기간이 15년 이상인 대상자가 15년 미만인 대상자보다 삶의 질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00, P<.04).
5. 대상자의 자가간호역량과 4개 하위영역별 삶의 질과의 관계는 신체적 영역 삶의 질(r=0.630, p<.01)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심리적 영역 삶의 질(r=0.418, p<.01), 환경적 영역 삶의 질(r=0.312, p<.01), 사회적 영역 삶의 질(r=0.279, p<.01)순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자가간호역량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노인 당뇨병 대상자의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입증하였고 노인 당뇨병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3
C. 용어정의 3
Ⅱ. 문헌고찰
A. 노인 당뇨병 대상자의 자가간호역량 5
B. 노인 당뇨병 대상자의 삶의 질 8
Ⅲ. 연구방법
A. 연구설계 10
B. 연구대상 10
C. 연구도구 10
D. 자료수집 방법 11
E. 윤리적 고려 12
F. 자료 분석 방법 12
Ⅳ. 연구결과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 13
B. 대상자의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 15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의 차이 16
D. 대상자의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의 관계 20
Ⅴ. 논의 21
Ⅵ. 결론 및 제언 26
참고문헌 28
부록
A. 동의서 및 설명문 35
B. 설문지 36
C. 대상자의 영역별 자가간호역량 41
D. 대상자의 영역별 삶의 질 43
Abstract 44
-
dc.language.isoko-
dc.titleSelf Care Competency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dc.title.alternative노인 당뇨병 대상자의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374-
dc.subject.keyword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dc.subject.keywordSelf-care competency-
dc.subject.keywordQuality of life-
dc.subject.keyword노인 당뇨병-
dc.subject.keyword자가간호역량-
dc.subject.keyword삶의 질-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간호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황, 수경-
dc.date.awarded2018-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8-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