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Development of Aging Anxiety Scale for Middle-Aged Women

Other Title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측정도구 개발
Authors
이, 혜진
Department
대학원 간호학과
Degree
Doctor (2018)
Abstract
This is a methodological study aimed at developing a measurement scale for aging anxiety among middle-aged women. In this study, construct factors were extracted and a conceptual framework was established by examining of a broad range of past studies and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middle-aged women based on Lasher and Faulkender's (1993) construct of aging anxiety. Under the conceptual framework, 44 preliminary items were constructed and a preliminary scale of 25 items was completed after two rounds of expert validation and item review.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01 middle-aged women aged 40∼59 years and th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reliminary scale were verified.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 total of 4 factors containing 19 items were extracted. Concurrent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was verifi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r=.70, p<.001). The Cronbach's α value of all 19 items of the developed measurement scale was .90, therefore,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established. Therefo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were verified.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측정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Lasher와 Faulkender (1993)의 노화불안 구성요인을 근거로 문헌고찰과 중년여성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개념적 기틀을 작성하였다. 개념적 기틀에 따라 44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고 2회의 전문가타당도 검증과 문항검토를 통해 25문항의 예비도구를 완성하였다. 본 조사를 위한 자료수집은 40∼59세 중년여성 20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예비도구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1.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문항의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문항분석에 따라 4문항이 제거된 21문항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4개요인 19문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4개요인의 설명력은 62.98%로 본 도구가 중년여성의 노화불안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도구의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는 다속성-다문항 매트릭스 (multitrait- multiitem matrix)로 분석하였다. 각 문항과 문항이 속한 하부척도와의 상관계수가 모두 .40이상으로 나타나 문항에 대한 수렴타당도가 수립되었으며, 성공률 87.7%로 판별타당도 또한 검증되었다.
3. 동시타당도 검증은 개발된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측정도구와 Lasher와Faulkender (1993)의 Anxiety about Aging Scale (AAS)간의 피어슨 상관관계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정적인 상관관계(r=.70, p<.001)를 보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측정도구의 동시타당도가 검증되었다.
4.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으로 판단하였으며 개발된 측정도구 전체 19문항의 Cronbach’s α값은 .90, 각 요인의 Cronbach’s α 값은 .76∼.88로 내적일관성이 수립되었다.
5. 최종도구는 4개요인 19문항으로 요인 1은 8개 문항의 ‘사회적 무가치감’, 요인 2는 4개 문항의 ‘신체적 기능약화’, 요인 3은 4개의 문항의 ‘외모변화에 대한 걱정’, 요인 4는 4개 문항의 ‘노년에 대한 부정적 기대’이다. 전체 도구의 총 점수 범위는 19∼95점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측정도구는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변화를 많이 겪는 중년여성의 노화불안 특이성을 타당성 있게 반영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도구이다. 또한 국내 중년여성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얻어진 실제적인 경험현상을 반영하였으므로 우리나라의 문화적 배경이 반영된 도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중년여성의 노화불안에 대한 이해를 높여 중년여성의 긍정적인 노화과정 이행 및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연구에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Doctor
Ajou Authors
이, 혜진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