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The Effects of The Reminiscence Program on The Elderly with Depress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 현정-
dc.date.accessioned2018-11-30T06:08:22Z-
dc.date.available2018-11-30T06:08:22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659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an experiment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reminiscence program on the depression of the depressed elderly and their resilience.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rom 2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6 in the control group who were assessed to be depressed by a depression test(GDSSF-K) among people over aged 65 living in S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reminiscence program 90 minutes a week for a total of 12 sessions. Data collection was from 27 July 2017 to 20 October 2017. As a research tool, the Korean GDSSF-K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for depression and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for resilience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error,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x² test, and Independent t-test generated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reminiscence program would have lower depression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 5.25, p<.001).
2.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reminiscence program would have a higher resilience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3.37, p=.001).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showed that the reminiscence program reduces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improves resilience. Therefore, the reminiscence program of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way to manage mental health for the depressed elderly in the community by enhancing their adaptability. Thus, it is suggested to apply the program to more the depressed elderly in local communities and actively utilize it.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회상프로그램이 우울노인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의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S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자 중 우울로 평가된 실험군 26명과 대조군 26명이었다. 실험군은 회상프로그램을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 동안 제공받았다. 자료 수집은 2017년 7월 27일부터 10월 20일이었다. 연구 도구로 우울은 한국판 단축형 노인 우울 척도(GDSSF-K)를, 회복탄력성은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CD-RISC)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²-test,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회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우울 점수가 낮을 것이다’라는 제 1 가설은 지지되었다(t=-5.25, p<.001).
2. ‘회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회복탄력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라는 제 2 가설은 지지되었다(t=3.37,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회상프로그램이 우울노인의 우울은 감소시키고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회상프로그램은 우울노인의 적응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지역사회 우울노인의 정신건강관리에 효과적인 방안이라 사료된다. 이에 보다 많은 지역사회 노인에게 확대 적용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목적 4
C. 연구 가설 4
D.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6
A. 노인의 우울과 회복탄력성 6
B. 노인의 우울중재프로그램 8
Ⅲ. 연구방법 11
A. 연구 설계 11
B. 연구 대상자 12
C. 연구 도구 13
D. 회상프로그램 내용 14
E. 자료수집 방법 21
F. 자료분석 방법 24
Ⅳ. 연구결과 25
A.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 25
B. 가설 검증 29
Ⅴ. 논 의 33
Ⅵ. 결론 및 제언 39
A. 결론 39
B. 제언 40
참고문헌 41
부록 49
ABSTRACT 77
표 차 례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 26
표 2. 대상자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대한 정규성 검증 28
표 3. 대상자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의 사전 점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28
표 4. 회상프로그램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 30
표 5. 회상프로그램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32
그 림 차 례
그림 1. 연구 설계 11
그림 2. 회상프로그램 내용 16
그림 3. 연구 진행과정 23
그림 4. 회상프로그램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 30
그림 5. 회상프로그램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32
부록차례
부록 1. 연구 대상자 설명문 및 동의서 49
부록 2. 설문지 59
부록 3. 회기별 회상프로그램 내용 65
-
dc.language.isoko-
dc.titleThe Effects of The Reminiscence Program on The Elderly with Depression-
dc.title.alternative회상프로그램이 우울노인에게 미치는 효과-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7849-
dc.subject.keywordThe elderly-
dc.subject.keywordDepression-
dc.subject.keywordMental health-
dc.subject.keywordResilience-
dc.subject.keywordReminiscence-
dc.subject.keyword노인-
dc.subject.keyword우울-
dc.subject.keyword정신건강-
dc.subject.keyword회복탄력성-
dc.subject.keyword회상-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간호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 현정-
dc.date.awarded2018-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8-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