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Transfer  from the Intensive Care Unit to General Ward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 은영-
dc.date.accessioned2018-11-30T06:08:25Z-
dc.date.available2018-11-30T06:08:25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660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a phenomenological study conducted for the in-depth understanding and description of experiences of patients transferred from ICU to the general ward by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of Colaizzi (1978). The participants are 15 adult patients between 3 to 5 days after transferred from the medical/surgical ICU where they stayed at least 48 hour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Chungcheongnamdo from January to December, 2017.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being transferred from the ICU was presented in 8 themes and 4 themes clusters. The 4 theme clusters for patients’ experience of being transferred from ICU were extracted as ‘Hope from despair’, ‘Gratitude for being alive’, ‘Recovery from suffering’, and ‘Pledge to return to living daily life’. The first theme cluster, ‘Hope from despair’ showed that in the course of planning and preparing for transfer from the ICU, patients consider transfer as a sign of recovering from the disease and hope for life. This was displayed in the themes of ‘message for hope arising from despair’ and ‘a wish to escape from a critical care status’. The second theme cluster, ‘Gratitude for being alive’ is about the experiences regarding the moment of leaving the ICU after completing intensive care and adapting after being transferred from the ICU, and it shows recovery of daily life and the gratitude for others’ help. This was displayed in the themes of ‘gratitude for the possibility of returning to the life as usual’ and ‘gratitude for the sacrifices of others’. The third theme cluster, ‘Recovery from suffering” is about the experience of recovery in the course of being transferred from the ICU with spatial change, environmental change, and passage of time and it shows the recovery of physical and mental status. This was displayed in the themes of ’Recovery from the powerless body’ and ‘departure from vulnerability’. The fourth theme cluster, ‘Pledge to return to living daily life’ means the experiences of reflecting on life in relation to their health condition after being transferred from the ICU and preparing for everyday life that they should return to after being released from hospital. This was displayed in the themes of ‘reflecting on the times of suffering’ and ‘responsibility of going back to daily life’. In conclusion, the key phenomenon regarding the patients’ experience of being transferred from the ICU was ‘the dynamic processes of finding hope from pain and despair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intensive care, appreciating survival with the help of many others, and preparing for healthy daily life and recovery of their role beyond treatment-oriented recovery’.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could withdraw a comprehensive and practical understanding by analyz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 of being transferred from ICU based on phenomenology. It is hereby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the framework for a desirable and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 development to help ICU patients to prepare for transfer from ICU and adapt to life after transfer to a general ward.-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환자실 환자의 일반 병동으로의 전실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기 위해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 서울과 충남지역에 위치한 두 개 대학병원 내·외과계 중환자실에서 최소 48시간 이상 재원 후 일반 병동으로 전실이 이루어진 3일에서 5일 이내의 성인 환자 15명이다. 본 연구 참여자의 전실 경험은 8개의 주제와 4개의 주제모음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경험에 대한 4개의 주제모음은 ‘절망에서의 희망’, ‘살아남에 대한 감사’, ‘고통에서의 회복’,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한 다짐’으로 도출되었다. 제 1주제모음인 ‘절망에서의 희망’은 중환자실에서 전실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과정을 질병의 호전과 삶에 대한 희망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절망에서 얻은 희망의 메시지’, ‘중환자 상태를 벗어나고 싶은 바람’의 주제로 나타났다. 제 2주제모음인 ‘살아남에 대한 감사’는 집중치료 후 중환자실을 떠나는 순간과 전실 후 적응에 관한 경험으로 일상을 회복하는 것과 타인의 도움에 대한 감사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예전 생활로 돌아가는 가능성에 대한 감사’와 ‘타인의 희생에 대한 고마움’의 주제로 나타났다. 제 3주제모음인 ‘고통에서의 회복’은 장소의 이동, 환경의 변화, 시간의 경과가 일어나는 전실 상황에서의 회복 경험으로 무력했던 신체적, 정서적 상태의 회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무력했던 신체로부터의 복귀’, ‘취약함으로부터 벗어남’의 주제로 나타났다. 제 4주제모음인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한 다짐’은 전실 후 건강상태와 관련된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퇴원 후 돌아가야 하는 일상을 대비하는 경험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고통으로 각인된 시간에 대해 돌아봄’, ‘일상으로 돌아가야 하는 책임감’의 주제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경험에 대한 핵심 현상은 “집중치료 과정에서 경험한 고통과 절망으로부터 희망을 발견하고 여러 사람의 도움으로 살아난 사실에 감사하며 치료 중심의 회복에서 나아가 온전한 일상생활과 역할 회복을 준비하는 역동적 과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참여자들의 전실 경험을 현상학에 기초하여 분석함으로써 총체적이고 실제적인 이해를 이끌어 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준비와 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적절한 간호 중재개발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요약 ⅰ
차례 ⅲ
그림 차례 ⅴ
표 차례 ⅵ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5
Ⅱ. 문헌고찰
A. 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6
B. 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동향 9
C. 간호연구에서의 현상학적 접근 12
Ⅲ. 연구 방법
A. 연구 설계 14
B. 연구 참여자 14
C. 자료 수집 18
D. 자료 분석 21
E. 연구의 질 확보 25
F. 질적 연구에 대한 연구자의 준비 27
G. 윤리적 고려 28
Ⅳ. 연구 결과
A. 주제모음 1. 절망에서의 희망 31
B. 주제모음 2. 살아남에 대한 감사 40
C. 주제모음 3. 고통에서의 회복 50
D. 주제모음 4. 일상으로 돌아가기 위한 다짐 64
E. 현상학적 글쓰기 74
Ⅴ. 논의
A. 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경험 77
B. 연구의 의의 83
Ⅵ. 결론 및 제언
A. 결론 85
B. 제언 86
참고문헌 87
부록 97
ASTRACT 103
-
dc.language.isoko-
dc.title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Transfer  from the Intensive Care Unit to General Wards.-
dc.title.alternative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060-
dc.subject.keywordIntensive Care Unit-
dc.subject.keywordTransfer-
dc.subject.keywordPhenomenological Study-
dc.subject.keyword중환자실-
dc.subject.keyword전실-
dc.subject.keyword현상학적 연구-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간호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 은영-
dc.date.awarded2018-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8-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Docto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