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Smartphone dependence,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and Sleep quality in College student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배, 선형-
dc.contributor.author이, 진향-
dc.date.accessioned2019-12-24T06:30:50Z-
dc.date.available2019-12-24T06:30:50Z-
dc.date.issued2019-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792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hat was attempted to identify smartphone dependence, VDT syndrome, and quality of sleep of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166 of 200 the college students in a university in Gyeonggi–do from July 2 to August 31, 2018. Smartphone dependence was measured using‘adult smartphone addiction self-diagnosis’ developed by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VDT syndrome was measured using by the instrument developed Moon, Lee and Kim (1991)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So-Won Kim (2005). The quality of sleep was measured using by the instrument developed by Buysee et al (1989) and translated by Sohn et al (201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s 23.0 program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analyzed by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the Scheffe-test.
The study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study results, the mean of smartphone dependence was 35.56±7.06 and based on dependece degree, high-risk group was 48.92±3.04, potential-risk group was 41.37±1.11 and general group was 32.50±5.44. The mean of VDT syndrome was 1.33±0.86 and based on subsymptom, ‘Systemic symptoms’was the highest with 1.06±0.71 and the ‘Musculoskeletal symptoms’was the lowest with 0.83±0.65. The mean of quality of sleep was 5.84±2.84.
2. The analysis on differences of VDT syndrome and quality of sleep according to the smartphone dependence demonstrated that VDT syndrom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martphone dependence group (F=41.20, p<.001). The subsymptom of VDT syndrome,‘Systemic symptoms (F=41.44, p<.001)’, ‘Psychological symptoms (F=34.23, p<.001)’, ‘Eye symptoms (F=19.80, p<.001)’, ‘Musculoskeletal symptoms (F=22.88, p<.001)’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quality of sleep (F=8.13, p<.001)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analysis on differences of VDT syndrome depending on the quality of sleep demonstrated that poor sleep group was 1.67±0.84, good sleep group 0.99±0.74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5.54, p<.001).
4. The analysis on differences of smartphone dependence, VDT syndrome, quality of sleep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 demonstrated that smartphone dependenc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average daily smartphone usage time (F=21.60, p<.001), smartphone usage time before sleep (F=6.05, p=.003), average monthly smartphone usage fee (F=2.97, p=034). VDT syndrome symptom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gender (t=4.13, p<.001), average daily smartphone usage time (F=8.777, p<.001) ssmartphone usage time before sleep (F=5.62, p=004). The quality of slee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gender (t=2.01, p=.046), average daily usage time of smartphone (F=3.33, p=.038), smartphone usage time before sleep (F=5.20, p=.006).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epare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highly dependent on smartphone to reduce of VDT syndrome and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 VDT 증후군 자각증상과 수면의 질을 확인하고 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일개 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2일부터 8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스마트폰 의존은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에서 개발한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를 사용하였고, VDT 증후군 자각증상은 문재동, 이민철과 김병우(1991)가 개발하고 김소원(2005)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면의 질은 Buysee 등(1989)이 개발하고 Sohn 등(2012)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Scheffe test를 이용한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스마트폰 의존은 평균 35.56±7.06점으로 의존 고위험군 48.92±3.04점, 의존 잠재적 위험군 41.37±1.11점, 의존 일반군 32.50±5.44점이었고 VDT 증후군 자각증상은 평균 1.33±0.86점으로 하부영역 중‘전신증상’이 1.06±0.71점으로 가장 높았고, ‘근골격증상’이 0.83±0.65점으로 가장 낮았으며 수면의 질은 5.84±2.84점이었다.
2. 대상자의 스마트폰 의존에 따른 VDT 증후군 자각증상과 수면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VDT 증후군 자각증상(F=41.20, p<.001)과 하부영역인 전신증상(F=41.44, p<.001), 심리증상(F=34.23, p<.001), 안증상(F=19.80, p<.001), 근골격증상(F=22.88,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수면의 질(F=8.13, p<.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대상자의 수면의 질 정도에 따른 VDT 증후군 자각증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면의 질이 좋지 않은 군 1.67±0.84점으로 수면의 질이 좋은 군 0.99±0.74점에 비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5.54, p<.001).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의존, VDT 증후군 자각증상과 수면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의존은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F=21.60, p<.001), 취침 직전 스마트폰 사용시간(F=6.05, p=.003), 월별 평균 스마트폰 사용요금(F=2.97, p=.034)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VDT 증후군 자각증상은 성별(t=4.13, p<.001),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F=8.77, p<.001), 취침 직전 스마트폰 사용시간(F=5.62, p=.004), 수면의 질은 성별(t=2.01, p=.046), 하루 평균 스마트폰 사용시간(F=3.33, p=.038), 취침 직전 스마트폰 사용시간(F=5.20, p=.006)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의존이 높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VDT 증후군 자각증상을 감소시키고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국문요약 ⅰ
차례 iii
표차례 ⅴ
부록차례 ⅵ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6
A. 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 6
B. 스마트폰 의존과 VDT 증후군 자각증상 8
C. 스마트폰 의존과 수면의 질 10
Ⅲ. 연구방법 12
A. 연구설계 12
B. 연구대상자 12
C. 연구도구 12
D. 자료수집방법 14
E. 자료분석방법 14
Ⅳ. 연구결과 15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5
B. 대상자의 스마트폰 의존, VDT 증후군 자각증상, 수면의 질 정도 17
C. 대상자의 스마트폰 의존에 따른 VDT 증후군 자각증상, 수면의 질의 차이 20
D. 대상자의 수면의 질 정도에 따른 VDT 증후군 자각증상의 차이 22
E.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의존, VDT 증후군 자각증상과 수면의 질 23
Ⅴ. 논의 29
Ⅵ. 결론 및 제언 35
참고문헌 37
부록 45
ABSTRACT 53
-
dc.language.isoko-
dc.titleSmartphone dependence,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and Sleep quality in College students-
dc.title.alternative대학생의 스마트폰 의존, VDT 증후군 자각증상과 수면의 질-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772-
dc.subject.keywordSmartphone dependence-
dc.subject.keywordVDT syndrome-
dc.subject.keywordSleep quality-
dc.subject.keywordCollege students-
dc.subject.keyword스마트폰 의존-
dc.subject.keywordVDT 증후군 자각증상-
dc.subject.keyword수면의 질-
dc.subject.keyword대학생-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간호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 진향-
dc.date.awarded2019-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19-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