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Emergency-room Nurse’s Protection Behavior for Patient’s Medical Record

Other Title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의 영향요인
Authors
박, 수연
Department
대학원 간호학과
Degree
Master (202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cross-sectional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s on performance of emergency-room(ER) nurse's protection behavior for patient's medical record.
METHODS: The subjects were 111 nurses working at ER of two certified tertiary hospital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and having experience, providing direct nursing to patients, for a week.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s from Feb. 24 to March. 9,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2.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perception on protection behavior for patient's medical record was 4.28 (out of 5), intention was 4.40 (out of 5),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as 4.04 (out of 5) and performance was 4.07 (out of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R nurses' degree of performance in the ‘direct nursing', a sub field of performance of protection behavior for patient's medical record,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out-of-bed areas among patients provided direct nursing. ER nurses' performance on protection behavior for patient's medical recor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ption, intentio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n protection behavior for patient's medical record wer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erception, intention, and these explained 50.6% of the total variance of performa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a need to create separated spaces between patients, which would make it easier for nurses to perform protection behavior for patient's medical record, given the specific environment such as 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gree of performance on protection behavior for patient's medical record by developing an education program which reinforces the degree of perception, intention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then providing ER nurses with the program.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소재 상급종합병원 1개, 경기도 소재 상급종합병원 1개의 응급실에 근무하며 최근 일주일간 직접간호를 제공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인식, 실천 의도, 지각된 행동통제력과 실천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최종 1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4.28점이었고, 실천 의도는 5점 만점에 4.40점,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5점 만점에 4.04점이었으며, 실천은 5점 만점에 4.07점이었다.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인식의 하위영역은 '의사소통영역'이 가장 높고 '연계업무영역'이 가장 낮았으며, 실천의 하위영역은 '의사소통영역'이 가장 높고 '직접간호업무영역'이 가장 낮았다.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인식의 문항별 순위가 높을수록 실천의 문항별 순위도 높았다. 응급실 간호사가 직접간호를 제공한 환자 중 침상 외 구역 환자의 비율에 따라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 정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실천의 하위영역 중 직접간호영역에서는 모두 침상에 있는 환자에게 간호를 제공한 간호사가 50% 미만의 침상 외 구역 환자를 포함하여 간호를 제공한 간호사보다 실천 정도가 높았다.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은 인식, 실천 의도, 지각된 통제력과 모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인식, 실천 의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실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며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을 50.6% 설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의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높을수록,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실천 의도가 높을수록 실천 정도가 높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응급실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여 간호사들이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환자간 분리된 환경을 조성하고, 환자 의료정보 보호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응급실 간호사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인식 향상 및 실천 의도와 행동통제력의 증가를 통해 실천 정도를 높일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인식, 실천 의도,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상급종합병원 1개, 경기도 소재 상급종합병원 1개의 응급실에 근무하며 최근 일주일 근무 중 직접간호를 제공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 111명이었으며 2020년 2월 24일부터 3월 9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인식과 실천은 이미영과 박영임(2005)이 개발한 도구를 정선영과 주현옥(2009)이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 의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Ajzen(2002)의 이론적 기틀을 근거로 김정희(2010)가 의료기관 근무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의 하위영역 중 실천 의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력 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인식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28점 (±0.45) 이었고, 실천 의도는 5점 만점에 4.40점(±0.57),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5점 만점에 4.04점(±0.84), 실천 정도는 5점 만점에 4.07점(±0.53)이었다.
2. 대상자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인식의 하위영역별 점수는 '의사소통영역' 4.50점(±0.48), '환자정보관리영역' 4.29점(±0.48), '직접간호업무영역' 4.06점 (±0.80), '연계업무영역' 4.06점(±0.69)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의 하위영역별 점수는 '의사소통영역' 4.29점(±0.63), '환자정보관리영역' 4.17점(±0.49), '연계업무영역' 3.80점(±0.84), '직접간호업무영역' 3.65점(±0.91) 순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인식의 문항별 순위가 높을수록 실천의 문항별 순위가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ho=.88, p<.001).
5. 대상자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 정도는 의료정보보호 관련 교육의 필요성 유무(t=3.26,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의 하위영역 중 직접간호업무영역에서 최근 일주일 근무 중 직접간호를 제공한 침상 외 구역 환자의 비율에 따라 실천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04, p=.032).
7. 대상자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은 인식(r=.55, p<.001), 실천 의도(r=.56, p<.001), 지각된 행동통제력(r=.54,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8. 대상자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인식(β=.33, p<.001), 실천 의도(β=.25, p=.003)와 지각된 행동통제력(β=.34, p<.001)이 있으며,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실천에 50.6%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의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높을수록,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실천 의도가 높을수록 실천 정도가 높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응급실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하여 간호사들이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환자간 분리된 환경을 조성하고, 환자 의료정보 보호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응급실 간호사에게 제공함으로써 환자 의료정보 보호행동 인식 향상 및 실천 의도와 행동통제력의 증가를 통해 실천 정도를 높일 수 있겠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Ajou Authors
박, 수연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