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Organizational culture,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amongst emergency department nurses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박, 진희 | - |
dc.contributor.author | 이, 미영 | - |
dc.date.accessioned | 2021-01-06T02:35:01Z | - |
dc.date.available | 2021-01-06T02:35:01Z | - |
dc.date.issued | 2020 | - |
dc.identifier.uri | 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9269 | -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a cross-sectional investigation, intended to confirm the de ree of infection control awareness,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fection control practice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eventually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improve infection control practice of emergency room nurses. The study subjects were 135 nurses working at two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and two district area emergency medical center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Korea (Rep of).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Dec 23, 2019 to Jan 14, 2020. Research tools are as the followings. For the measurement on the de ree of infection control organizational culture, the tool of Moon, Jung-eun (2015) was used, which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from that of Park, Hyun-hee (2013) - Patient Safety Culture Measurement Tool. For the measurement of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practice, the tool was used Hong Moon-hee modified and supplemented (2015), the one for matching with the requirements for large comprehensive hospitals, which is originally based on the tool of Kim Bong-hee (2003), for the measurement of infection-control awareness and practi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al,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through the use of SPSS win 18.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1. The de ree of infection control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ubjects was average 5.56±0.78 out of 7 (Total scores 55.59). 2. The de ree of infection control awareness of the subjects was with the average of 4.66±0.36 out of 5. By area, 'isolation area' was the highest with 4.84±0.39, and 'urinary tract infection-control area' was the lowest, 4.49±0.52. 3. The de ree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 of the subjects was the average of 4.51±0.38 out of 5. By area, the 'isolation area' was the highest with 4.84±0.35 points, and the 'intravascular catheter infection-control area' was the lowest with 4.37±0.56. 4. The study has resulted in that there is no statistical practice difference of infection control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5. The infection control practice was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fection contr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fection control awareness. 6. It is appeared that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infection control practice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factors of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infection control organizational culture. These variables described 43%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 The study was able to be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 emergency room, and also to be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nd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are those of important variables impacting infection control practic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infection control practice of emergency room nurses in the future,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mote infection control by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that can raise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by exploring strategies for forming a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와 수행도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의 2개의 권역응급의료센터와 2개의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135명의 간호사로 2019년 12월 23일부터 2020년 1월 1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박현희(2013)의 환자안전문화 측정 도구를 기반으로 하여 감염관리 수행에 대한 조직문화를 측정하기 위해 문정은(2015)이 수정ㆍ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감염관리 인지도와 수행도는 김봉희(2003)가 임상 간호사의 감염관리 인지도와 수행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홍문희(2015)가 현행 감염관리지침을 토대로 의료기관 상급종합병원용 인증조사기준의 감염관리 부분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수정ㆍ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정도는 7점 만점에 평점 평균 5.56±0.78점(총점 55.59)으로 나타났다. 2.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인지도는 5점 만점에 평점 평균 4.66±0.36점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격리 영역'이 4.84±0.3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요로감염관리 영역'이 4.49±0.52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는 5점 만점에 평점 평균 4.51±0.38점으로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격리 영역'이 4.84±0.3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혈관 내 카테터 감염관리 영역'이 4.37±0.5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와 수행도, 감염관리 인지도와 수행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감염관리 인지도와 감염관리 조직문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들은 감염관리 수행도를 43%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와 수행도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가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감염관리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긍정적인 조직문화 형성을 위한 전략을 모색함으로써 감염관리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와 조직문화 7 B.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와 인지도 9 Ⅲ. 연구방법 12 A. 연구 설계 12 B. 연구 대상 12 C. 연구 도구 13 D.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15 E. 윤리적 고려 15 F. 자료 분석 방법 16 G. 연구의 제한점 16 Ⅳ. 연구결과 17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7 B.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 및 조직문화와 인지도 19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도의 점수 차이 22 D. 대상자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와 수행도의 상관관계 24 E.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5 F. 추가분석 26 Ⅴ. 논의 31 Ⅵ. 결론 및 제언 37 A. 결론 37 B. 제언 38 참고문헌 39 | - |
dc.language.iso | ko | - |
dc.title | Organizational culture,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amongst emergency department nurses | - |
dc.title.alternative |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인지도와 수행도 | - |
dc.type | Thesis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308 | - |
dc.subject.keyword | infection control practice | - |
dc.subject.keyword | infection control awareness | - |
dc.subject.keyword | infection control organizational culture | - |
dc.subject.keyword | emergency room nurse | - |
dc.subject.keyword | 감염관리 수행도 | - |
dc.subject.keyword | 감염관리 인지도 | - |
dc.subject.keyword | 감염관리 조직문화 | - |
dc.subject.keyword | 응급실 간호사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contributor.department | 대학원 간호학과 | -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이, 미영 | - |
dc.date.awarded | 2020 | - |
dc.type.local | Theses | - |
dc.citation.date | 2020 | - |
dc.embargo.liftdate | 9999-12-31 | - |
dc.embargo.terms | 9999-12-31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