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Factors Related to Self-efficac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 은영-
dc.date.accessioned2021-01-06T02:35:06Z-
dc.date.available2021-01-06T02:35:06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927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factors related to CPR self‐efficacy using the data of 2018 community health survey. To analyze the difference and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health behavioral factors, recognition factors of early symptoms of cardiovascular diseases, disease prevalence factors, and CPR practice experience factors on the self‐efficacy of CPR, this study used the SAS 9.4 program, and performed simple analysis, chi‐square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les 2.00 (95% CI 1.87‐2.14), with higher education, office occupation 1.29 (95% CI 1.18‐1.40), the group with good subjective health 1.50 (95% CI 1.41‐1.58), walking practice group 1.17 (95% CI 1.10‐1.23), stroke early symptoms recognition group 1.30 (95% CI 1.22‐1.39), and myocardial infarction early symptoms recognition group 1.33 (95% CI 1.25‐ 1.42). Concerning monthly alcohol use and yearly use of health institutions, there was the opposite result between when no correction was made and after correction. As a result of the correction, the CPR self‐efficacy was higher for non‐drinkers 1.121 (95% CI 1.06‐1.20) and for the group using health institutions for a year 1.07 (95% CI 1.00‐1.13). This study found that personal and health behavioral interest factors influence the self‐efficacy of CPR.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considering multilateral public relation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of CPR education programs in the community.-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201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에 관련 있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성인 51,612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행태 요인, 심뇌혈관질환 조기증상 인지 요인, 질병이환 요인, 심폐소생술 실습경험 요인이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차이와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SAS 9.4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단순분석,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analysis),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남자가 2.00(95% CI 1.87-2.14), 고학력일수록, 사무직종 1.29(95% CI 1.18-1.40), 주관적 건강수준이 좋은 그룹 1.50(95% CI 1.41-1.58), 걷기 실천을 하는 그룹 1.17(95% CI 1.10-1.23),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 그룹 1.30(95% CI 1.22-1.39), 심근경색 조기증상 인지 그룹 1.33(95% CI 1.25-1.42)로 나타났다. 월간 음주여부와 연간 보건기관 이용은 보정을 안했을 때와 보정을 한 후 반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보정 한 결과로 비음주자 1.121(95% CI 1.06-1.20), 연간 보건기관을 이용하는 그룹 1.07(95% CI 1.00-1.13)로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이 더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 및 건강행태에 관한 관심 요인이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역사회에서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의 다각적 홍보 및 교육적 중재를 고려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Ⅱ. 연구방법 6
1. 연구설계 6
2. 연구자료 및 대상 7
3. 변수정의 8
1) 심폐소생술 관련 요인 8
2) 인구사회학적 요인 9
3) 건강행태 요인 9
4) 심뇌혈관질환 조기증상 인지 요인 10
5) 질병이환 요인 11
4. 분석방법 12
Ⅲ. 연구결과 13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
2. 연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비교 16
1) 인구사회학적 요인 16
2) 건강행태 요인 18
3) 질병이환 요인 20
4) 심뇌혈관질환 조기증상 인지 요인 21
5) 심폐소생술 관련 요인 22
3. 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에 관련 요인 분석 23
Ⅳ. 고찰 26
Ⅴ. 결론 31
참고문헌 33
부록 37
-
dc.language.isoko-
dc.titleFactors Related to Self-efficac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c.title.alternative심폐소생술 자기효능감 관련 요인-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707-
dc.subject.keyword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c.subject.keywordCPR-
dc.subject.keywordSelf-efficacy-
dc.subject.keywordCommunity Health Survey-
dc.subject.keyword심폐소생술-
dc.subject.keyword자기효능감-
dc.subject.keyword지역사회건강조사-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보건대학원-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전, 은영-
dc.date.awarded2020-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20-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Deartment of Public Health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