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descriptive study that aim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sleep disturbance, fatigue, and turnover intention of shift-work nurses. This study included 136 shift-work nurses from A hospital in Gyeonggi-do, and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between September 7 and 14, 2020.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Korean version of the Sleep Measurement Scale, a Multidimensional Fatigue Scale, and a turnover intention tool.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5.0.The following ar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1. The value for sleep disturbance was 36.57±7.12, out of 60. The value for fatigue was 56.83±13.90, out of 95. The value for turnover intention was 20.46±4.16, out of 30.
2. The differences in sleep disturbance, fatigue, and turnover inten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results regarding sleep disturbances varied depending on clinical experiences, perceived health condition, and average sleep hours. The results regarding fatigue varied depending on sex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 and the results regarding turnover intention varied depending on age, educational level, having children, average monthly income,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
3. The analysis of correlation involving sleep disturbance, fatigue, and turnover intention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leep disturbance and fatigue and between fatigue and turnover intent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shift-work nurses with a high level of sleep disturbance experienced a high level of fatigue. Therefore,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developing program for improving sleep that correspond to personal sleep patterns in order to reduce sleep disturbances in shift-work nurses and establish a strategy for enabling nurses to adapt to their shift-work environment. Additionally, nursing intervention, which may help reduce th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through relieving the fatigue of shift-work nurses, should be developed as shift-work nurses with a high level of fatigue are more willing to change their job.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 피로와 이직의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A병원에서 교대근무를 하는 간호사 1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0년 9월 7일부터 9월 14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면장애는 Snyder-Halpern과 Verran (1987)의 도구를 바탕으로 오진주, 송미순과 김신미(1998)가 수정, 보완한 한국형 수면 측정도구를 사용, 피로는 Schwartz 등 (1993)이 개발한 FAI (Fatigue Assessment Inventory)을 토대로 장세진(2000)이 수정, 보완한 MFS (Multidimensional Fatigue Scale), 이직의도는 Mobley (1982)가 개발한 도구를 김미란(2007)이 간호사 대상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대근무 간호사 136명의 수면장애는 60점 만점에 평균 36.57±7.12점, 피로는 95점 만점에 평균 56.83±13.90점, 이직의도는 30점 만점에 20.46±4.16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장애, 피로와 이직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면장애는 임상경력, 주관적 건강상태, 평균 수면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피로는 성별,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이직의도는 연령, 최종학력, 자녀유무, 직위, 월 평균수입,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수면장애, 피로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수면장애는 피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피로는 이직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수면장애가 높은 교대근무 간호사는 높은 피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 감소를 위해 개인의 수면 유형에 맞는 수면 증진을 위한 중재를 모색하여 이를 기초로 교대근무에 대한 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피로가 높은 교대근무 간호사는 이직의도를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 완화를 통해 이직의도 감소를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