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infertility stress and social support the quality of life for infertile women.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June 19 to October 7, 2020, on 164 infertile women. Infertility stress were measured with Kim et al. (1995). For social support, the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MSPSS) tool transrated by Shin & Lee, (1999). and For the Quality of Life for infertile women was survey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Tool (FertiQol) adapted by Kim & Shin, (201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infertily stress was 107.12 point and Obsessive thinking among emotional dimensions was the highest at 22.78 points, and social relationship dimension was the lowest at 10.22 points among marital dimensions. The mean score for social support was 42.88 out of 60. The subdomain scores were 15.53 points for family support, 14.52 points for support from a special person, and 12.82 points for support from friends.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was highest with an average score of 76.20 with a maximum score of 107 from a high of 46, and the emotional domain as a sub-domain had the highest score of 22.42 with a score of 13.32 in the relationship domain was the lowest.
2.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for infertile wome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r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ertility treatment period(F=4.32 p=.015), in vitro fertilization procedure or not((t=-2.51, p=.013), and burden of fertility procedure cost burden(t=-2.29, p=0.23).
3. Infertility-related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fertility stress(r=-.40, p=<.001).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r=-.89, p=<.001).
4.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variabl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rtility stress and social support, which are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ertility-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explanatory power of perceived economic level, infertility treatment period, in vitro fertilization procedure, and fertility procedure cost burden was 12%, As a result of additional input of infertility stress and social support, the explanatory power increased to 81%, The two variables were found to explain the quality of life by an additional 69%.
These results show that infertility stress and social support are very important variables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infertility. From the above study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nfertility stress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quality of life for infertile wom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strategies and programs to subsequent research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본 연구는 난임 치료를 받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난임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난임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시 A 난임 여성병원 외래와 수원시 B 대학병원 체외수정실에 내원한 총 164명의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2020년 6월 19일부터 10월 7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난임스트레스는 김선행, 박영주, 장성옥(1995) 개발한 불임스트레스 척도를 난임스트레스로 용어 변경하여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는 Zimet 등(1988)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다차원 척도(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 MSPSS)를 신준섭과 이영분(1999)이 번안한 도구로 사용하였다. 난임 관련 삶의 질은 미국생식의학회(Americ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ASRM)와 유럽 생식 배아협회(European Society of Human Reproduction and Embryology:ESHRE)가 협력하여 개발한 난임관련 삶의 질 도구(Fertility quality of life tool : FertiQol) 중 김주희와 신혜숙(2012)이 번안한 핵심 불임문제에 관한 24문항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임 여성의 난임스트레스는 평균 107.12점이었고, 하위영역에서 정서 차원점수가 24.90점으로 가장 높았고, 부부관계 차원 14.21점, 인지 차원 12.70점, 사회관계 차원 10.22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사회적 지지는 평균 60점 만점에 42.88점으로, 하위영역에서 가족의 지지 15.53점, 특별한 사람의 지지 14.52점, 친구의 지지 12.82점 순으로 나타났다.
3. 난임관련 삶의 질은 최저 46점에서 최대 107점으로 평균 76.20점이었으며, 하위영역에서 정서 영역이 22.42점으로 가장 높았고 심신영역 20.50점, 사회 영역 17.93점, 관계영역의 점수가 13.32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4. 난임 여성의 일반적 특성, 난임관련 특성에 따른 난임관련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경제상태(t= 3.64, p<.001), 난임 치료 기간(F=4.32 p=.015), 체외수정 시술 시행 유무(t=-2.51, p=.013), 난임 시술비용 부담감 (t=-2.29, p=0.2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난임 여성의 난임관련 삶의 질은 난임스트레스(r=-.89,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사회적 지지(r=.47, p<.001)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6. 난임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난임스트 레스와 사회적 지지, 일반적 특성, 난임관련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를 독립변수로 포함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단계에 서 지각된 경제 수준, 난임 치료 기간, 체외수정 시술, 난임 시술 비용 부담 은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F=6.36, p<.001), 설명력은 12%였고, 2단계에서 난임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를 추가 투입한 결과, 설명력은 81%로 증가하 였고, 난임스트레스(β=-81, p=<.001)와 사회적 지지(β=.15, p<.001)가 통계 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난임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난임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 실무에서 난임스트레스를 줄여주고, 난임의 문제에 대해 사회적으로 지지를 해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한 난임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