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Menopausal Syndromes, Marital Intimacy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 진희-
dc.contributor.author임, 정선-
dc.date.accessioned2021-11-10T05:52:31Z-
dc.date.available2021-11-10T05:52:31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urihttp://repository.ajou.ac.kr/handle/201003/19831-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conduct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marital intimacy,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ir quality of lif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August 31, 2020, for 140 married middle-aged women with spouses in a city in Gyeonggi-do. For menopausal symptoms, a tool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RS developed by Heinemann et al. (2004) was used, while for evaluation of marital intimacy, the tool developed by Lee Kyung-hee (1998)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situation was used. Quality of life was survey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WHOQOL-BREF tool adapted by Seong-Gil Min et al. (200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he menopausal symptoms of middle-aged women was 15.45 points out of 44 points. Among the menopausal symptoms, genitourinary symptoms were 3.79 points, physical symptoms 5.58 points, and mental symptoms 6.08 points.
2. The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women was 46.41 out of 75 points. The mean score on sexual intimacy was 14.32 points, emotional intimacy was 15.92 points, and cognitive intimacy was 16.16 points.
3. The participants’ average score on the WHOQOL-BREF was 84.00 out of 130 points. The average rating on the 'Social relationships' domain was 3.13 points (total score 9.39 points), 'Psychological' was 3.18 points (total score 19.11 points), 'Overall' was 3.20 points (total score 6.39 points), 'Environment' was 3.23 points (total score 25.98 points), and 'Physical Health' was 3.30 points (total score 23.61 points).
4.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cademic Background (F=11.77, p<.001), Monthly Household Income (F=13.99,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 (F=27.94, p<.001) .001), Body Mass Index (F=3.59, p=.030), and Occupation Status (t=4.29,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5. Upo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menopausal symptoms, marital intimacy, and quality of life, it was found that menopausal symptom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arital intimacy(r=-.32, p<.001) and quality of life(r=-44, p<.001): However, marital intim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r=.47, p<.001).
6.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revealed that 39% of quality of life was explained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were education, household monthly income, subjective health status, body mass index, and occupation. Furthermore, 49% of quality of life was explained by adding menopausal symptoms and marital intimacy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rom the above study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menopausal symptoms and marital intimacy a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strategies and programs to alleviate menopausal symptoms and improve marital intimacy for middle-aged women in order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갱년기증상, 부부친밀감과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 소재 A도시에서 배우자가 있는 중년 여성 140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갱년기증상은 Heinemann 등(2004)이 개발한 MRS의 한국어판 도구를 사용하였고, 부부친밀감은 이경희(1998)가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삶의 질은 WHO가 제작한 WHOQOL-BREF를 민성길 등(2000)이 번안한 한국어판WHOQOL-BREF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ANOVA, 상관관계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년 여성의 갱년기증상은 총 44점 만점 중 평균 15.45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으로 비뇨생식기 증상 3.79점, 신체적 증상 5.58점, 정신적 증상 6.08점 순으로 나타났다.
2. 중년 여성의 부부친밀감은 총 75점 만점 중 평균 46.41점이었다. 하위영역으로 성적 친밀감 14.32점, 정서적 친밀감 15.92점, 인지적 친밀감 16.16점 순으로 나타났다.
3. 중년 여성의 삶의 질은 총 130점 만점 중 평균 84.00점이였다. 하위영역은 5점 만점 평점평균에 사회적 관계영역 3.13점(총점 9.39점), 심리적 건강영역 3.18점(총점 19.11점), 전반적 영역 3.20점(총점 6.39점), 환경적 영역 3.23점(총점 25.98점), 신체적 영역 3.30점(총점 23.61점)순으로 나타났다.
4. 중년 여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학력(F=11.77, p<.001), 가정월수입(F=13.99, p<.001), 주관적건강상태(F=27.94, p<.001), 체질량지수(F=3.59, p=.030), 직업(t=4.29, p<.001) 여부에 따라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중년 여성의 갱년기증상, 부부친밀감,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갱년기증상은 부부친밀감(r=-.32, p<.001), 삶의 질(r=-.44, p<.001)과 유의한 중등도의 음의 상관관계였으며, 부부친밀감은 삶의 질(r=.47, p<.001)과 유의한 중등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중년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1단계에서 학력, 가정월수입, 주관적건강상태, 체질량지수와 직업은 삶의 질을 39% 설명하였으며, 2단계로 갱년기증상과 부부친밀감을 추가 투입한 결과 설명력은 49%로 증가하여 학력(β=.17, p=.015), 가정월수입(β=.16, p=.026), 주관적건강상태(β=.34, p=.003), 직업(β=.15, p=.023), 갱년기증상(β=-.18, p=.015)과 부부친밀감(β=.26,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갱년기증상과 부부친밀감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갱년기증상 완화와 부부친밀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중년 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의 정의 3
II. 문헌고찰 5
1. 중년 여성의 삶의 질 5
2. 중년 여성의 갱년기증상 8
3. 중년 여성의 부부친밀감 10
III. 연구방법 12
1. 연구 설계 12
2. 연구 대상자 12
3. 연구 도구 13
4. 자료 수집 방법 14
5. 자료 분석 방법 15
6. 윤리적 고려 15
IV. 연구결과 16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
2. 대상자의 갱년기증상, 부부친밀감과 삶의 질 정도 18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20
4. 대상자의 갱년기증상, 부부친밀감과 삶의 질의 관계 22
5.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3
V. 논의 25
VI. 결론 및 제언 31
참고문헌 33
부 록 40
ABSTRACT 52
-
dc.language.isoko-
dc.titleMenopausal Syndromes, Marital Intimacy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dc.title.alternative중년 여성의 갱년기증상, 부부친밀감과 삶의 질-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744-
dc.subject.keywordMiddle-aged women-
dc.subject.keywordMenopausal symptoms-
dc.subject.keywordMarital intimacy-
dc.subject.keywordQuality of life-
dc.subject.keyword중년 여성-
dc.subject.keyword갱년기증상-
dc.subject.keyword부부친밀감-
dc.subject.keyword삶의 질-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department대학원 간호학과-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임, 정선-
dc.date.awarded2021-
dc.type.localTheses-
dc.citation.date2021-
dc.embargo.liftdate9999-12-31-
dc.embargo.terms9999-12-31-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College of Nursing Science >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