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Scipus Cited Count

Heritability of Maxillary Dental Cephalometric Variables of Monozygotic twins, dizygotic twins and siblings

Other Title
일란성 쌍생아와 이란성 쌍생아 및 형제자매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상 상악 치아 계측치의 유전성 비교
Authors
강, 건우
Department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2021)
Abstract
INTRODUCTION: The genetic comparison of craniofacial variables through twin studies has been important in orthodontics and has clinical significance. In this study, heritability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canine, first molar was measured.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36 pairs of monozygotic twins (16 pairs of males and 20 pairs of females), 13 pairs of dizygotic twins (7 pairs of males and 6 pairs of females) and 26 siblings (11 pairs of males and 15 pairs of females) who visited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and had lateral cephalometric images. All patients are over 20 years old and the average age is 39.75 years. Linear variables of each tooth (6 vertical, 6 horizontal) and 3 tooth axis variables were measure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 of each group was calculated and heritability(h2) was calculated by using falconer’s method.
RESULTS: Monozygotic twin group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 of 6 vertical linear variables of 3 teeth(mean 0.837, P<0.001) and axis variables of upper central incisor and canine(mean 0.679, P<0.001) were higher than ICC of dizygotic twin group and siblings. Heretability of these variables showed significantly high value.
CONCLUSIONS: Orthodontic treatment changing vertical variables of maxillary teeth and the axis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and canine which showed high heritability can be more difficul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trategic treatment plan considering long term stability.

서론: 쌍생아 연구를 통한 두개악안면 부위 변수의 유전성 비교는 교정학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으며 임상적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악 중절치, 견치, 제1대구치의 유전율을 측정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삼성 서울병원을 내원한 한국인 쌍둥이 환자 및 가족 533명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 표본 중 본 연구에 적합한 일란성 쌍생아 36쌍(남 16쌍, 여 20쌍), 이란성 쌍생아 13쌍 (남 7쌍, 여 6쌍), 형제자매 26쌍 (남 11쌍, 여 15쌍) 총 150명의 두부 방사선사진이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환자의 연령은 모두 20세 이상이며 평균연령 39.75세이다. 각 치아의 선형적 계측치(수직 6항목, 수평 6항목)과 치축 3항목을 측정하여 각 그룹 내 급내상관계수를 구하였고 Falconer method를 통해 유전율을 계산하였다.
결과: 급내 상관계수가 일란성 쌍생아 그룹에서 세 치아의 수직적인 선형계측치 6항목(평균0.837, P<0.001)과, 중절치와 견치의 치축(평균 0.679, P<0.001)이 이란성 쌍생아와 형제자매 그룹보다 크게 측정되었으며 유전율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고찰: 유전율이 높게 측정된 수직적인 요소들과 상악 중절치, 견치의 치축을 변화시키는 치료는 좀 더 까다로울 수 있으며 교정치료 후 유지, 안정성에 있어서 전략적인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Keywords

Appears in Collections:
Theses > Graduate School of Clinical Dentistry, Department of Clinical Dentisity > Master
Ajou Authors
강, 건우
Full Text Link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qrcode

해당 아이템을 이메일로 공유하기 원하시면 인증을 거치시기 바랍니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